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한일중 정상회의 끝나자 정찰위성 발사했지만…“1단 비행중 공중폭발”(종합)
北, ‘만리경-1-1호’ 발사 1시간 30여분 만에 실패 시인
대통령실 안보상황점검회의 “北 규탄”…尹대통령 보고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린 27일 밤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사진은 합참이 28일 공개한 서북도서지역의 우리 경비함정 감시장비로 촬영한 북한 군사정찰위성 폭발 실시간 영상 캡처. [합참 제공]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27일 한일중 정상회의가 끝나자마자 군사정찰위성 2호기를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군사정찰위성 발사시 사고 발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27일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1호’를 신형 위성운반로켓에 탑재해 발사했다며 로켓은 1단 비행중 공중폭발해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총국장이 “비상설 위성발사 준비위원회 현장지휘부 전문가 심의에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발동기(엔진)의 동작 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면서 “기타 원인으로 될 수 있는 문제점들도 심의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시인은 전날 밤 10시44분 정찰위성을 발사하고 1시간30여분인 28일 새벽 0시22분께 나왔다.

북한은 지난해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때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실패를 인정한 바 있다.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4년5개월 만에 재개된 한일중 정상회의 당일 감행됐다는 점도 주목된다.

한국, 일본과 중국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을 비롯한 한반도 비핵화를 둘러싸고 입장차를 보인 가운데 한일중 3국 간 공조를 방해놓고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북한은 리창 중국 총리가 한일중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한국을 떠난 뒤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함으로써 나름 중국의 입장을 고려하는 모습을 취했다.

대통령실은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즉시 보고했다.

안보상황점검회의 참석자들은 “정부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작년 11월에 이어 또다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것은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행위”라고 규탄했다.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술들이 포함된 발사를 규탄한다”며 “북한의 행동이 한반도의 안정과 번영을 저해하고 북한의 고립만 심화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를 북한에 보내기 위해 국제사회와 계속 공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규탄할 것을 모든 국가에 촉구하고 북한에 대해서는 진지한 대화에 나설 것을 압박한다”며 “한국과 일본 방어에 대한 우리의 공약은 여전히 철통같다”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밤 10시44분께 북한이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항적을 포착했다며 2분 뒤인 10시46분께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돼 공중폭발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발표했다.

북한은 작년 11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해 궤도에 올린데 이어 올해 3기를 추가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