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번엔 2000명 더…주한미군 ‘4만2000명’ 잘못 언급한 트럼프
주한미군 실제 규모는 2만8500명 수준 유지
트럼프 “韓 큰돈 벌고 거의 돈 지불 안해” 주장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주한미군 규모를 4만2000명이라고 또다시 잘못 언급했다. 한미는 2000년대 후반부터 주한미군 규모를 2만8500명 수준으로 유지중이다. [REUTERS]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통해 재집권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주한미군 규모를 4만2000명이라고 또다시 잘못 언급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저지주 와일드우드 유세 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의 국방비 문제를 언급하는 과정에서 한국을 거론한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그는 “한국, 우리는 그들의 군에 돈을 지불하고 있다”며 “우리는 4만2000명의 군인이 있고 그들은 우리에게 거의 돈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30일 보도된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압박하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면서 주한미군 규모를 4만 명이라고 언급한 데서 2000명 더 늘어난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예전부터 주한미군 규모를 과장하면서 한국이 더 많은 부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지난해 3월에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3만5000명으로 언급했다.

대통령 재임중에도 주한미군 숫자를 3만3000명, 3만2000명이라고 얘기한 바 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2000년대 후반 이후 2만8500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미 상·하원 군사위원회는 국방예산을 담은 2024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서 한국에 배치된 미군 약 2만8500명의 규모를 유지한다고 명시하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와일드우드 유세에서 한국이 미국에 거의 돈을 지불하지 않았다며 자신이 이를 바꿨다고 말한 것도 사실과 다르다.

그는 “그들(한국)은 큰돈을 벌었다. 그들은 우리의 조선 산업을 가져갔고 컴퓨터 산업을 가져갔으며 많은 다른 산업도 가져갔다”면서 “그들은 돈을 많이 벌었고, 그들의 군을 위해 돈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은 2021년 체결된 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에 따라 그해 1조1833억원(약 8억5700만 달러)을 부담했으며, 한국의 국방비 인상률을 반영한다는 조항에 따라 올해는 1조3463억원을 부담하고 있다.

11차 SMA가 종료되는 내년 한국의 분담금은 약 1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미는 2026년부터 적용될 12차 SMA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중이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타임과의 인터뷰를 통해 주한미군 철수까지 시사한데 대해 “분명한 것은 한미동맹에 관해 미 조야와 양당 상하원, 행정부의 강력한 지지가 있다”면서 “한미의 탄탄한 동맹관계는 변치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한미동맹에 기반해 문제를 풀어간다면 여러 가지 협상과 문제가 원만하게 잘 해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