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또 ‘9·19 군사합의’ 위반 포사격…北 “南 도발에 대응” 적반하장
中시진핑 3연임 ‘잔칫날’에도 저강도 도발 이어간 北 김정은
‘호국훈련’ 명분 도발…中 당대회 후 도발 수위 최고조일 듯
‘미중 경쟁’ 속 대만해협·7차 핵실험 위기까지…한반도 소용돌이
합참은 19일 북한이 전날 밤 10시께부터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발,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0여 발의 포병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자료사진.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북한이 18일 심야에 동·서해 완충구역으로 250여발의 포병사격을 감행하면서 9.19 남북 군사합의를 위반했다. 중국 공산당 당 대회 기간에는 무력 도발을 자제해 온 관례를 깬 것으로, 북한은 우리 군이 17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연례적 야외기동 훈련인 ‘2022 호국훈련’을 ‘군사적 도발’로 규정하고 이에 대응한 것이라며 책임을 돌렸다. 잇따른 무력 도발에 대한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면서 후속 도발의 명분을 쌓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북한이 전날 밤 10시경부터 북한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발, 밤 11시경부터 북한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0여발의 포병사격을 관측했다. 동·서해상 낙탄 지점은 ‘9·19 군사합의’에 따른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완충구역 이내였으며, 우리 영해에서 관측된 낙탄은 없었다.

군은 동·서해상 북한의 포병사격에 대해 '9·19 군사합의 위반 및 즉각 도발 중단'에 관한 경고통신을 수 회 실시했다. 합참은 “동·서해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은 명백한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이러한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로서, 엄중 경고하며 즉각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번 사격이 18일 남측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대응이라고 주장했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이날 대변인 발표에서 “적들은 18일 오전 9시55분부터 오후 5시22분까지 남강원도 철원군 전연일대에서 수십 발의 방사포탄을 발사했다”며 “중대한 경고를 보내기 위해 18일 밤 아군 동부 및 서부전선부대들이 강력한 군사적 대응조치로서 동·서해상으로 위협 경고 사격을 진행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 군이 17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하는 연례 야외기동훈련인 ‘호국훈련’을 겨냥했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적들의 북침전쟁연습인 ‘호국 22’가 광란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시기에 감행된 이번 도발책동을 특별히 엄중시한다”고 말했다. 이번 호국훈련은 육해공군 합동 전력이 북한의 핵·미사일 등 위협을 상정해 주야간 실병 기동훈련을 실시하며 일부 주한미군 전력도 참가한다.

북한은 이례적으로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가 열리는 기간에 도발을 단행됐다. 통상 북중 관계가 훈풍이 부는 시기 중국의 주요 정치 행사가 개최되는 기간에는 도발을 자제해왔던 관례를 깬 것이다. 특히 이번 당 대회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을 결정하고 향후 5년의 정책 기조를 발표하는 중국의 잔칫날이지만 저강도 도발을 지속했다. 앞서 북한은 중국 당 대회 개막일인 지난 1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 주석 간의 축전과 답전을 공개하고 양국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었다.

북한은 잇따른 도발에 대한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며 후속 도발의 명분을 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전연일대에서 연이어 감행되는 적들의 군사적도발행위로 하여 조선반도의 정세는 계속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했고, 지난 14일에도 “남조선군부의 무분별한 군사활동에 엄중한 경고를 보낸다”고 말했다.

22일 중국 당 대회가 끝나고 23일 20기 중앙위원회 전체회의(1중전회)에서 당 지도부 개편이 마무리된 후 본격적인 ‘시진핑 집권 3기’에 접어들면 북한의 도발 수위는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기 지도부가 기존의 강경 외교정책의 연속성을 가지는 가운데 시 주석은 대만 무력통일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미중 경쟁과 맞물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경우 한반도는 소용돌이의 한가운데 서게 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