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해상완충구역내 250여발 사격, 9·19 위반…나흘만에 또
북한이 군용기 10여 대를 동원해 서·동부 비행금지구역 인근까지 접근해 위협 비행한 데 이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14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북한이 중국의 당 대회 3일차인 18일 늦은 오후에 동·서해 완충구역으로 또 포병 사격을 감행했다.

지난 14일 이후 나흘 만에 이뤄진 도발이자 9·19 남북 군사합의 위반 사항이다. 우리 측의 호국 훈련과 경기 철원지역 포사격에 대한 반발성 무력 시위라는 분석이 나온다.

합참은 18일 오후 10시께부터 북한이 황해도 장산곶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100여발, 오후 11시께부터 강원도 장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150여발 포병 사격을 각각 시행한 것으로 관측했다고 19일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동·서해상 낙탄 지점은 9·19 군사합의에 따른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완충구역 이내다.

우리 영해로의 낙탄은 없었다.

우리 군은 동·서해상 북한의 포병 사격을 놓고 '9·19 군사합의 위반과 즉각 도발 중단' 내용의 경고 통신을 수차례 내보냈다.

합참은 "동·서해상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은 명백한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다. 엄중 경고하고 즉각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우리 군은 한·미 간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추적·감시하고,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대비 태세를 강화 중이라고 합참은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지난 14일 오전 1시20분께, 오후 5시께 총 5곳에서 동·서해 완충구역으로 560발에 이르는 포격을 해 9·19 군사합의를 어겼다.

이번 일로 인해 북한의 9·19 군사합의 위반은 9건이 됐다.

북한이 중국의 당 대회 기간에 도발한 일은 이례적이다. 당 대회 중에는 소강 상태에 있을 것이라는 예측도 빗나갔다.

전날 북한의 도발은 17일 시작한 우리 군의 하반기 야외 기동 훈련인 호국 훈련, 전방 지역의 포격에 경고하는 식의 도발일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북한은 최근 우리 군 또는 주한미군이 전방의 완충구역 이남에서 사격 훈련을 하는 일도 빌미 삼아 9·19 합의를 위반하는 포 사격 양상을 보이는 중이다.

우리 측은 북한의 9·19 합의에 위반하는 대응 조치를 하지 않는 모습이다. 북한의 '의도'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방침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 14일 책임을 우리 측의 전방 포격으로 돌렸다. 당시 포격은 담터 진지에서 미군의 다연장(MLRS) 포격으로 9·19 위반과는 상관 없는 곳이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