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주한美대사 “전술핵에 대한 이야기, 무책임하고 위험”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 “확장억제 의지, 누구도 의심해선 안 된다”
여권 발 전술핵 재배치·나토식 핵공유 주장에 반대 입장 밝혀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패널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는 18일 “전술핵에 대한 이야기가 푸틴(러시아 대통령)에게서 시작됐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서 시작됐든 무책임하고 위험하다”고 밝혔다. 여전히 북한 비핵화를 최우선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골드버그 대사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과거 주한미군에 배치됐던 전술핵의 한반도 재배치에 대한 질문에 “확장억제는 미국이 가진 핵 전력을 포함한 모든 부문을 동원해 보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에 대한 우리의 의지는 그 누구도 의심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핵확산방지조약(NPT)에 대한 한국의 의지를 밝힌 점을 거론, “전술핵이든 아니든 위협을 증가시키는 핵무기가 아니라 오히려 그런 긴장을 낮추기 위해 핵무기를 제거할 필요에 좀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북한의 전술핵 운용부대 실전훈련으로 핵 위협이 고조화되자 여권에서 전술핵 재배치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식 핵공유 등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외교를 통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의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북한의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한미 양국은 확장억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 긴밀한 공조체제를 갖추고 있다”며 “아마 주한 미국대사의 발언도 한미 간의 긴밀한 공조와 협의 틀 내에서 발언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골드버그 대사는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정확한 날짜는 예측할 수 없지만 모든 조짐을 봤을 때 북한이나 김정은이 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며 “그러한 조치를 취한다면 무책임의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만에서 미중 간 무력 충돌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이 일방적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전제하며 “주한미군과 미국의 의지는 한반도에 집중돼 있다”고 밝혔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와 관련해서는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생산과 조지아주 공장 완공 사이에 생길 시차에 대해 우린 지금 논의 중이고 해결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