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통령 전용기 ‘공군 2호기’ 구매 또는 임차 검토중
신규 구매 무게…임차도 배제 안 해
文정부 임차 추진했지만 계약 무산
정부가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2호기’ 노후화에 따라 구매 또는 임차를 통해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료사진.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정부가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2호기’ 노후화에 따라 구매 또는 임차를 통해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18일 공군 2호기와 관련해 “운영 효율성과 전력화 시기 등을 고려해 면밀히 검토 중”이라며 “구체적인 사업 추진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새로운 공군 2호기 선정 및 도입이 현 정부 임기 내 이뤄질지에 대해선 “수년 내가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며 “사업 방식에 따라 다르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몇 년간 걸릴 것 같다”며 “현 정부에서 안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정부는 신규 구매하는 방안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임차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 않고 있다.

공군 2호기 도입사업은 문재인 정부 때였던 지난 2018년 7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의결됐다.

공군 1호기는 대형 신형기를 임차하고 중형 신형기를 새로 임차해 2호기로, 그리고 기존 2호기를 3호기로 해 총 3대의 대통령 전용기를 운영한다는 구상이었다.

이후 2021년 7월부터 2022년 2월 사이에 3차례 입찰공고를 냈으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물가와 환율 상승에 따른 예산 및 전력화 준비기간 부족 등의 이유로 항공업체들이 응찰에 나서지 않는 바람에 결국 계약이 무산되고 말았다.

‘코드원’으로 불린 공군 1호기는 지난 1월 구형 B747-400에서 B747-8i로 교체된 상태다.

윤석열 정부는 기존 중형 신형기를 새로 임차해 대통령 전용기를 3대 운용하는 방안보다 예산절감 효과가 크고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현재 2호기를 임차나 구매 등을 통해 대체 확보해 2대를 운용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 관계자는 “2018년에는 중형 항공기를 임차해 해외로 나갈 때 3대를 운용하는 개념을 잡았는데 실제 해외로 나가는 횟수 등을 고려할 때 2대로 해도 임무수행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났다”며 “2대를 어떻게 운영할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국방부와 공군은 비용과 운영 효율성, 전력화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공군 2호기 대체 확보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공군 2호기는 지난 1985년 도입한 40인승 규모의 B737-300으로, 2010년 공군 1호기 도입 전까지 1호기 역할을 수행했다.

지난 정부에서는 대북특사단 평양 방문, 국무총리 해외 순방 그리고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의 해외 방문 때 활용되기도 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