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황준국 6자회담 수석대표 방미…“韓美中 북핵 대화재개 협의중”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미국을 방문중인 6자회담 수석대표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 중국이 6자회담 재개의 적절한 조건을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황 본부장은 이날 워싱턴에 도착한 직후 “북한과 비핵화대화 재개가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이뤄질 수 없으며 적절한 대화재개 조건이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달 중으로 예상되는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진 이번 방미의 핵심의제가 6자회담 재개조건과 관련된 한국과 미국 간 의견조율임을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황 본부장은 “한·중 정상회담은 아주 중요한 외교일정이기 때문에 한국, 미국, 중국 세 나라를 중심으로 대화재개의 조건을 협의중”이라며 “북한은 그동안 핵실험을 세 차례나 했고 특히 6자회담이 중단된 지 5년여 동안에도 두 차례나 핵실험을 했기 때문에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6자회담에 나갈 수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황 본부장이 6자회담 재개 조건과 관련해 한·미·중 3국을 언급한 것은 북한과 일본이 지난달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가진 국장급 협의를 통해 납북 일본인 재조사와 대북 독자제재 완화를 주고받은데 대한 경계심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과 미국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북한과 합의를 이끌어냄으로써 대북공조에 균열이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황 본부장은 다만 북일합의와 관련, “한·미·일 3국이 모두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하고 있다”며 “이런 맥락에서 이번 합의결과에 대해 미국 측과 평가를 하고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한·미 양국이 북일합의의 속도와 방향, 절차 등에 대해 대일메시지를 보낼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6자회담 재개조건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무산된 북미간 2·29 합의에서 거론됐던 비핵화 조치 이상의 ‘플러스 알파(+α)’가 어떤 식으로 교통정리 될지 주목된다.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관련, 핵·미사일 실험 중지,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을 포함한 영변 핵 활동 유예,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에 더한 추가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중국은 북핵불용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에 방점을 두고 있다.

황 본부장은 현지시간으로 2일 오후 국무부에서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