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무력시위와 사상전 동시다발적 공세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무력시위와 함께 대남비방 등 사상전을 강화하면서 동시다발적 공세를 펼치고 있다. 그동안 대남·대미 비난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독수리연습과 맥스선더 등 한미 합동군사훈련이 종료되자, 의도적으로 긴장상태를 유지하면서 한반도 정세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은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인접한 백령도 동북방 월래도 남쪽 해역과 연평도 서북방 무도 남쪽 해역 등 2곳에서 50여발의 해안포를 발사했다. 지난 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 불용원칙을 재확인하고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시기를 재검토하기로 합의하자 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이미 기술적인 준비를 마친 것으로 알려진 4차 핵실험 감행 의지도 감추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담화를 통해 핵실험에 대해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자위적 권리행사”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사상전 공세도 거세다. 북한은 서해 사격훈련을 실시한 날 “세계 최악의 남조선 인권 실태를 고발한다”며 ‘남조선인권백서’를 들고 나왔다. 백서는 주한미군범죄와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사건, 송파구 세모녀 자살사건, 세월호 침몰사건 등을 열거하면서 “남조선은 세계 최악의 인권 불모지”라고 주장했다.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한 비난은 도를 넘어섰다. 북한은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와 각종 매체를 동원해 박 대통령에 대해 ‘철부지 XXX’, ‘기생XXX’ 등 시정잡배 수준의 막말을 쏟아내고 있다. 다만 북한은 나름 도발 수위를 조절하려는 듯한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북한은 NLL 인근 해상에서 사격훈련을 실시하기는 했지만 지난달 7개 구역에서 2개 구역으로 축소한데다 NLL 이남으로는 포탄을 날려 보내지 않았다. 외무성 대변인이 핵실험에 대해 ‘자위적 권리’라고 주장하면서도 “시효가 없다”고 밝힌 대목은 당장 핵실험을 감행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이 때문에 북한이 당분간 낮은 수위의 도발 태세를 이어가면서 남북관계 전환의 계기를 엿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