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근혜 외교, 다시 중국 끌어안기?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한국은 미국과 가장 긴밀한 동맹관계에 있으면서도 한반도 문제나 교역관계에서 중국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다. 미ㆍ중 양국이 서로 경쟁하는 구도에서 한국은 아슬아슬한 줄타기 외교를 해야 하는 측면이 강하다. 때문에 박근혜정부는 한ㆍ미ㆍ일 3자 공조 복원와 동시에 대 중국 달래기에 나섰다.

추궈훙(邱國洪) 신임 주한 중국 대사는 지난 28일 서울 명동 신축 대사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 일정을 양국 외교부가 6~9월 사이로 구체적으로 조율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시 주석의 방한 시기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진 바가 없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관련 협의가 진행 중이라는 얘기다.

이날 일부 언론에서 시 주석의 답방이 이르면 5월 중 이뤄질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정상회담은 준비해야 할 것들이 많아 당장 한달 내로 일정을 잡을 순 없는 것”이라면서도 “연내에는 답방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헤이그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ㆍ중 정상회담이 열렸고 10월에는 베이징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양국 정상이 만나게 되는 만큼 시 주석의 답방이 9월까지는 이뤄져야 하지 않겠냐는 분위기가 강하다.

우리 정부가 시주석 답방에 드라이브를 거는 것은 최근 이어지는 한ㆍ미ㆍ일 3각 공조 강화 움직임과 대중 관계에 있어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다.

헤이그 핵안보 정상회의에서 버락 오바마와 박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한자리에 모여 중국 견제 성격이 다분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협력하기로 한데다 이번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도 대중 포위망 구축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이다. 미국이 센카쿠 열도의 일본 영유권을 지지하며 미일 안보 조약 적용 대상임을 명확히 한 데 대해 중국이 반발한 것은 고조되는 양 진영간 경쟁 구도를 잘 보여준다.

우리 정부는 중국과의 정치ㆍ경제적 협력을 이어나가기 위해 대중 유화 제스처를 계속 취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 전 박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전화를 걸어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나 한ㆍ미ㆍ일 군사정보공유 MOU 추진에 대해 “북핵ㆍ미사일에 한정될 것”이라며 애써 의미를 축소한 것도 대중 균형외교의 일환이다.

우리 정부의 이런 노력이 결실을 이룰지는 두 강대국의 관계가 협력적으로 유지되느냐에 달렸다. 마이클 그린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연구원은 “미국은 중국을 ‘봉쇄’(Containment)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선을 넘지 못하도록 가드레일을 놓고 있다”며 양국의 경쟁이 극단적으로 흐르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