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북핵문제 거론하며 北 이산상봉 진정성 촉구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정부는 북한이 다음 달 17~22일로 제안한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가운데 진정성을 보이라고 거듭 촉구했다.

정부는 특히 북핵문제까지 언급하며 북한을 압박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부는 30일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이 발표한 이산가족 상봉 관련 정부 입장에서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하자고 하면서도 우리의 제안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고 실무접촉도 무산됐다”며 “북한이 진정으로 이산가족의 아픔을 생각한다면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인륜과 천륜을 갈라놓고 상봉을 기다리던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또다시 못을 박는 일이 되풀이 돼서는 안될 것”이라며 “책임지지 못할 제안이라면 하지 않는 것이 이산가족들의 상처를 줄이는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이 상봉 시기까지 남측이 편한 시기에 정하라고 양보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추진할 것처럼 했지만 우리측 제안에 무응답으로 일관함으로써 설 명절을 앞둔 이산가족들의 아픔과 실망감만 한층 키웠다는 점을 비판한 셈이다.

정부는 특히 “지금 북한이 영변에 있는 플루토늄 추출을 위한 원자로를 재가동하고 우라늄 농축시설의 규모도 확충하고 있다고 보도됐다”며 “북한이 이렇게 핵무기 프로그램을 계속 진전시키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하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북핵문제를 언급했다.

또 “북한은 당장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유엔안보리 결의 및 비핵화 관련 국제의무와 약속을 지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 정보기관 총책임자인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29일(현지시간) 상원 정보위원회 서면 증언을 통해 북한이 영변 핵시설에 있는 우라늄 농축시설 규모를 확충하고 있으며 플루토늄 원자로 재가동에 들어갔다고 확인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 관련 입장을 밝히면서 북핵문제를 거론한 것은 당초 제안한 17~22일까지는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는 만큼 북한을 이산가족 상봉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압박 차원에서 꺼내 든 것으로 풀이된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