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강산관광 한숨 돌린 남북관계 새로운 변수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 타결로 한숨을 돌린 남북관계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라는 또 다른 변수가 등장했다.

북한은 당장 금강산관광 재개협상에 돌입하자는 입장이지만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정상화와 이산가족 상봉에 집중하면서 금강산 관광 문제에 있어서는 숨을 고르고 있는 형국이다.

정부는 북한의 금강산관광 실무회담 제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20일 “이산가족문제와 금강산 관광 재개는 별개”라며 “정부내 협의와 조율을 진행중인 단계”라고 말했다. 정부는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다소 소극적인 분위기가 읽힌다.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국무회의에서 “개성공단 실무회담 합의를 새로운 남북관계의 출발점으로 삼아서 잘 관리해 나가기 바란다. 정부가 제안한 추석 전 이산가족 상봉을 북한이 적극 수용해 더욱 발전돼 나가기를 바란다”며 개성공단과 이산가족 문제는 언급했지만 북한이 제의한 금강산관광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는 점은 대표적인 장면이다.

개성공단 정상화와 이산가족 상봉 행사 등을 통해 남북간 신뢰를 쌓아야 금강산 관광 재개도 가능하다는 인식으로 풀이된다. 이는 인도적 교류부터 시작해 정치·경제적 사안으로 점차 확대한다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상과도 맞닿아 있다. 정부의 이러한 입장은 북한의 금강산 관광 재개가 개성공단과 달리 현금지원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장거리로켓 발사와 3차 핵실험 이후 유엔 대북제재 조치와 상충될 수 있는데다 천안함 사태 이후 취해진 5·24 대북조치 해제와도 맞물려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기도 하다.

반면 북한은 23일 이산가족 상봉 실무회담에 앞서 22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갖자고 하고 실무회담 장소도 금강산으로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얻어내기 힘든 상황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라는 우회로를 확보하려는 의도와 함께 미국을 겨냥해 남북관계 진전이라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도 북한의 이 같은 의도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금강산 관광 카드를 완전히 거부할 경우 북한의 반발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 무산과 개성공단 정상화 차질 등이 우려되지만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 수 있기 때문에 수용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