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마루즈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16일(현지시간) 국제사회가 북한의 외국인 납치와 강제실종 문제를 집중 조명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먼저 이날 제28차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에서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는 1950년부터 어린이를 포함해 20만 명이 넘는 외국인들이 북한으로 납치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북한의 외국인 납치와 강제실종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납치·실종 관련 총체적 규모 측정,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인권이사회·총회 등 유엔 차원의 지속적인 활동, 이해관계가 있는 국가들의 단합된 노력, 국제회의 개최, 시민사회의 적극적 역할 등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이와 함께 유엔 인권 최고대표사무소(OHCHR)와 서울에 개설될 예정인 북한 인권 현장사무소가 이런 활동을 수행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보장해야한다고 강조했다.

COI보고서는 북한이 1950년 이후 외국인을 조직적으로 납치해왔으며 이들의 본국 송환을 거부해왔다고 지적한 바 있다.

피해 국가로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중국, 레바논, 말레이시아, 루마니아, 태국 등이 거론됐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탈북자 신동혁 씨가 북한에서의 경험과 관련해 진술을 일부 번복하고 북한이 이를 빌미로 COI 보고서가 허위라고 주장하는데 대해 “신 씨의 일부 증언 수정은 직접 인터뷰를 한 80명 중의 하나일 뿐이고 이외에 240명의 증언도 확보해 결코 COI 보고서의 방대한 증거를 바꾸지 못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내가 마치 북한 정권 교체를 요구한 것처럼 비난하고 있으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개혁을 요구한 것일 뿐”이라며 “COI 보고서와 나의 신뢰도를 훼손하고 유엔 인권이사회의 진행을 지연시키려는 것은 헛된 시도”라고 비판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북한 정부는 외국인 납치와 강제실종을 포함해 이런 행동을 한 것에 대해 답변을 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 인권이사회 회의는 북한 인권상황에 변화를 촉진하고 책임자의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한 중요한 기회이며 어느 때보다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북한 측은 “유엔 결의안이나 특별보고관의 보고서를 인정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북한에 대해 적대적 정책을 가진 유럽연합(EU)과 일본이 미국과 함께 인권문제를 정치화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별도의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대화를 해야 하기에 북한의 반발이나 트집잡기에 대해 일일이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며 “9~10개의 국가로 접촉 그룹을 형성해 지속적으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면서 북한과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검찰총장 출신인 다루스만 보고관은 최근 OHCHR에 제출한 보고서에서도 북한이 지난해 유엔 인권기구와 협조하는 듯한 행보를 보였지만 유엔 총회의 대북결의안 채택 이후 모든 것이 중단됐다며 북한을 압박하기 위해 외국인 납치문제를 제기해야한다고 강조하는 등 북한의 외국인 납치 문제를 적극 부각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