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 軍철수 · 평화협정 등 난제…성사까지 첩첩산중
노 前대통령 제의땐 김정일 “시기상조”
군사력 밀집 현실상 北 호응 장담못해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은 가능할까. 박근혜 대통령은 공약뿐만 아니라 이미 여러 차례 언급했지만,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가 이뤄지자마자 예상을 뛰어넘어 직접 DMZ 평화공원을 제안했다. 때문에 남북 양측이 비공식적 협의를 했고, 여기서 어느 정도 가능성이 타진된 것이란 추측도 있다.

DMZ 평화공원이 현실화된다면 냉전과 분단의 상징인 휴전선이 일부나마 허물어진다는 것으로, 세계사적으로도 적잖은 의미를 지닌다. 관광 활성화를 통해 남북분단의 아픔을 널리 확산시킴으로써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호적인 여론 조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북한의 호응 여부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지난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자리에서 DMZ에 있는 남북의 소초(GP)와 중화기를 철수하고 평화적으로 이용하자고 제안했으나 “아직은 속도가 빠르다”며 “아직은 때가 아니지 않으냐”고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분계선(MDL)을 사이에 두고 남북 각각 2㎞씩 설정된 DMZ에는 현재 남한 80~90개, 북한 150~160개의 소초가 설치돼 있다. 특히 북한은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 등 사거리 54∼60㎞로 남한의 수도권을 사정거리에 두고 있는 장사정포를 밀집시켜 놓고 있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정치적·군사적으로 의미가 큰 DMZ의 비무장화에는 쉽게 동의할 수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지난 5월 방미 기간 DMZ 평화공원에 대한 구상을 처음 밝혔을 때 북한이 보인 첫 반응 역시 냉담 자체였다. 북한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당시 박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 “원한의 상징에 꽃밭이나 조성하고 외국 관광객들을 끌어들여 민족이 겪고 있는 비극을 자랑거리인 듯 선전하려는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하지만 긍정적 신호도 일부나마 감지된다.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 부장이 최근 방북했던 박상권 평화자동차 사장에게 개성공단이 잘돼야 DMZ 평화공원도 잘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북한도 DMZ 평화공원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도 CNN 설립자인 테드 터너가 지난 2005년 방북해 DMZ 평화공원 사업계획을 밝혔을 때 호의적 반응을 보인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남북관계가 얼마나 진전되고 상대에 대한 신뢰가 조성되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