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나라의 아픔에 기업과 NGO, 종교계가 발벗고 도움을 자처하고 나섰다. 과거 역사의 아픔, 그리고 독도 영유권 분쟁이라는 갈등을 잠시 접어둔 양상이다.
정부는 이번 일본 대지진 참사 구호 과정에서도 1년 전 아이티 참사 때처럼 민간이 정부 이상의 몫을 해주길 기대하고 있다.
15일 관련 소식통들에 따르면 지난 11일 일본 대지진 직후 국내 각종 단체들이 앞다퉈 지원과 모금에 나서고 있다. 월드비전과 세이브더칠드런, 굿네이버스, 한국유니세프, 전국재해구호협회 등 민간 NGO들은 작게는 수십만 달러에서 많게는 수백만 달러를 일본 긴급구호를 위해 사용하기로 결정했으며, 종교 단체와 언론사 등도 모금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업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KB금융과 홈플러스 등은 사고 소식 직후 성금과 구호용 물품을 기증했고, 여타 기업들도 전경련 등 경제 단체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찾고 있다.
민간 차원의 일본 돕기 열풍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온라인을 중심으로한 일반 시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다. 네이버 해피빈에는 네티즌들이 십시일반 기부한 모금 나흘만에 1억 원이 넘었고, 다음에도 댓글 릴레이와 함께 6000만 원의 성금이 모였다.
이런 민간의 자발적인 기부와 도움은 지난해 아이티 대 지진때부터 본격화됐다는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1년 전 아이티 지진 당시 민간의 지원액은 3000만 달러로 정부의 1500만 달러의 배가 넘었다”며 “이번 일본 지진 직후에도 다양한 민간 단체들이 자발적으로 애도를 표하고 모금에 나서고 있는 점은 우리 정부의 외교 활동에도 큰 힘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지원에는 예산 문제, 또 집행 절차 등으로 한계가 있다. 이번 일본 대지진의 경우에도 정부는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예산 추가 확보 등을 이유로 실질적인 대규모 지원까지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한 실정이다.
앞선 아이티의 경우 세계 각국 정부와 유엔 등 국제기구가 다양한 지원 방침을 밝혔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실제 집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고 있다. 반면 우리의 경우 공병대를 중심으로 한 정부의 활동에 민간의 신속한 지원이 더해지면서 현지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게 최근 현장을 다녀온 외교부 관계자의 말이다.
이 관계자는 “우리 나라의 해외 원조와 지원도 이제 국민들이 스스로 나서 힘을 모으고, 실질적으로 피해 당사자에게 도움을 주는 선진국 모델로 나가고 있다는 증거”라며 “과거 정부 차원의 생색내기 식 지원과는 그 효과 또한 차원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최정호 기자@blankpress> choij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