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드라이비트, 비용절감·단열 뒤에 "인화성·내구성 취약"
제천 화제 원인에 '드라이비트' 도마 위
'드라이비트' 비용·기간 절감 이면에 내구성·인화성 취약

이미지중앙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김은수 기자] 제천 화재의 주된 원인으로 건축 마감재 '드라이비트'가 도마에 올랐다.

지난 21일 드라이비트가 사용된 충북 제천시의 한 스포츠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날 화재로 현재까지 29명이 사망하고 부장자도 29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화 물질인 드라이비트가 화재를 키웠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드라이비트는 스티로폼 등 가연성 소조에 석고나 페인트를 덧바른 건축 마감 소재다. 특히 드라이비트에 불이 붙을 경우 스티로폼이 녹으면서 유독 가스를 발생시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인화성과 더불어 내구성 역시 드라이비트의 단점으로 꼽힌다. 드라이비트는 스티로폼을 뼈대로 한 만큼 작은 충격에도 부서질 위험이 있다. 콘크리트에 비해면 턱없이 약한 강도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더욱 쉽게 부서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지난 2015년 있었던 경기도 의정부시 화재 역시 드라이비트가 논란을 낳은 바 있다. 건물 1층 주차장에서 난 불은 드라이비트 소재의 외벽을 타고 급속히 번졌다. 결국 130여 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나오는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럼에도 드라이비트는 각종 건축물에서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다. 대리석, 벽돌 등 마감재에 비하면 가격이 3분의 1 갸량에 불과하고 시공 기간도 짧기 때문이다.

한편 21일 제천 화재는 이날 오후 3시 50분 경 건물 1층에 주차된 차량에서 시작됐다. 소방 당국은 7분 뒤인 오후 4시 현장에 도착했으나 불은 삽시간에 번졌고 수많은 인명 피해로 이어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