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터;View] ‘행복하기 위해 사는’ 강하늘이 말하는 ‘행복’
이미지중앙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남우정 기자] 눈에 띄는 신예 배우에서 이젠 믿고 보는 배우로 성장한 강하늘. 탄탄히 필모그래피를 쌓아온 강하늘이 이번엔 살인 누명을 쓴 남자로 분했다. 그리고 강하늘은 자신의 선택은 틀리지 않았다는 걸 ‘재심’으로 증명했다.

‘재심’은 목격자가 살인범으로 뒤바뀐 사건을 소재로 벼랑 끝에 몰린 변호사 준영(정우)과 살인 누명을 쓰고 10년을 감옥에서 보낸 현우(강하늘)가 다시 한 번 진실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2000년 벌어진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을 모티브로 했다. SBS ‘그것이 알고싶다’로 두 번이나 방영되면서 전국민적 관심을 받은 사건으로 살인 누명을 쓰고 10년간 복역한 최군은 현재 무죄 선고를 받았고 진범에 대한 재판은 아직까지 진행중이다. 강하늘은 판결이 나기 전 시나리오를 받고 작품을 선택했다.

“‘그것이 알고싶다’로 방영됐을 당시에 관심을 가졌던 사건이었다. 이 대본이 그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부터 제가 하게 될 것 같았다. ‘재심’은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실화를 모티브로 했을 뿐 그대로 연기하지 않았다. 그게 어떤 상황인진 중요하지 않았다. 그래도 그분의 삶의 깊이는 모르지만 힘을 부릴 수는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미지중앙
‘재심’은 사건이 일어났던 과거와 재심을 하게 되는 현재를 오가며 극적인 전개를 보여준다. 강하늘 역시 시나리오와 순서가 달랐다며 첫 장면을 보고 놀랐다고 말했다.

“시나리오 순서랑 완전히 달라져서 첫 장면을 보고 ‘왜 저거지?’라고 놀랐다. 영화를 보다 보니까 감독님이 왜 그렇게 편집했는지 알겠더라. 그럼 처음부터 그렇게 써주시지.(웃음) 이 방법이 더 매력적이었다. 시나리오는 사건의 진행과정대로 순차적이었다. 근데 사건으로 영화의 문을 여는 것도 재미있더라. 새로운 영화를 보는 느낌이었다.”

‘쎄시봉’ ‘동주’에 이어 또 다시 실화 영화다. 실존 인물을 연기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만만치 않을 것 같았지만 강하늘은 오히려 ‘재심’은 자유로웠다고 말했다. 캐릭터만 생각하는 게 자신의 역할이라고도 했다.

“‘재심’은 실화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라 캐릭터화 한 인물이다. 개인적으로 저에겐 ‘동주’가 더 어렵고 무거웠다. 현우는 실존 인물 자체를 연기하는 게 아니라 자유가 들어가 표현하는 게 자유로웠다. ‘동주’는 윤동주라는 이름 석자가 자유를 억압했다. 실화 작품을 하면서 이 부분에 치우치다 보면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 그래서 내 캐릭터만 생각하게 된다. 온전히 시나리오에 집중하고 내 역할이 하는 그 정도가 연기자의 역할인 것 같다.”

이미지중앙

사진=오퍼스 픽쳐스 제공

‘재심’의 관객의 입장에선 답답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다. 사건이 발생했던 과거부터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현재까지도 오해를 받고 살아가는 현우의 상황은 슬프고 극적이다. 그럼에도 ‘재심’ 속 배우들의 연기는 오히려 담백하다. 강하늘은 착한 사람이 억울한 누명을 썼다는 일반적인 포맷이 싫어 오히려 과거 현우의 모습을 극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분명 그가 억울한 누명을 쓴 인물이라는 걸 알지만 강하늘의 표정에선 순간순간 섬뜩함이 느껴진다.

“사실적이고 담백한 연기는 저희들과 감독님이 지향하는 스타일이었다. 대본을 읽었을 때 그냥 착한 애가 억울한 누명을 쓰는 포맷으로 가기 싫었다. 그런 건 너무 많이 보지 않았나. 제가 하고 싶었던 것은 조금 더 불량스러운 느낌이었다. 오히려 오해도 할법한 인물을 만들고 싶어서 외형적으로 장발에 브릿지도 넣고 문신도 추가했다. 러닝셔츠나 바지 스타일도 생각했던 부분이다.”

영화 속에선 구타도 당하고 엄마 앞에서 눈물을 흘리는 등 체력적으로나 감정적으로 괴로웠을텐데 강하늘은 현장에 웃음이 끊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평소에도 절친한 정우와의 만남이니 그럴 만도 했다.

“어두운 감정을 가져가는 영화고 그런 캐릭터지만 저의 모든 작품의 모토는 웃으면서 즐기는 거다. 그런 현장에서 많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고 다 같이 만들어가는 느낌이 좋다. 이번 ‘재심’ 현장 자체도 어둡지 않았다. 정우형과 편한 덕이 없지 않아 있었다. 전 서로 안 좋은 역할일수록 친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제가 정우형에게 도움 받은 게 많다.”

이미지중앙
최근 강하늘은 ‘미담자판기’로 불리며 바른 인성으로 칭찬을 듣고 있다. 예능프로그램에서 얻어진 별명이지만 이를 통해서 평소 강하늘의 행실을 엿볼 수 있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에도 강하늘은 한결같았다. 인터뷰 시작 전 겉옷 입는 것마저 양해를 구한 강하늘은 자신의 말 한마디에 누군가 상처받진 않았을지 걱정했다.

“억울함을 느끼고 살진 않았지만 요즘 따라 그런 생각을 많이 한다. 살아가면서 친구들이나 어느 누구에게 상처를 주며 살아가지 않았을까. 혹시나 누군가 저에게 상처를 받았다면 시간을 되돌릴 수 없으니 그 친구에게 재평가를 받고 싶은 마음이 있다.”

이날 강하늘의 입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행복’이었다. 살아가는 모토가 행복하기 위해서라고 강하늘은 말했다. 하지만 그 행복 안에서도 강하늘만의 규칙이 있었다. 나 혼자만의 행복이 아니라는 점이다. ‘재심’을 만들고 슬픈 사람은 없어야 하지 않겠냐며 손익분기점은 넘겼으면 좋겠다는 강하늘의 말은 허투루 한 게 아니었다. 지금 가장 행복하다는 강하늘의 진심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요즘 살아가는 모토가 행복하기 위해서다. 행복에 대해 생각하다가 그런 생각을 하게 됐다. 나 혼자 행복하다고 되는 게 아니더라. 누군가 저에게 ‘재미와 행복을 주고 있다’는 말을 했을 때 그 당시에 감사하단 생각을 했는데 어느 순간 문득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고 상처 입은 사람도 있겠더라. 뭔가 위선적이라는 생각을 했다. 행복하려고 살지만 나 혼자 행복한 게 다는 아니다. 가장 행복한 순간은 지금이다. 좋아하는 책에서 ‘과거는 거짓말이고 미래는 환상’이라는 구절이 있었다. 내 힘이 닿을 수 있는 건 지금 뿐이더라. 그게 행복하게 사는 방법 같다.”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