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폭락 3年…시총순위, 외국인 비중, 주주보호 바뀌었다 [투자360]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코스피가 대폭락한 지 3년이 흘렀다. 1500선 밑으로 하락했던 코스피는 동학개미운동을 거쳐 2400선으로 전반적인 수준이 높아졌다. 개인 투자자 증가로 외국인 비중이 줄고, 주주 보호를 위한 움직임이 커지는 가운데 주도 업종 역시 반도체 업종의 비중은 감소했다. 한편, 대폭락 이후 ‘삼천피’를 이끌었던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정책이 긴축으로 빠르게 전환하며 미국 은행들의 파산을 비롯해 경제 불안정성을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2020년 3월 19일 1457.64로 장을 마치며 대폭락을 기록한 바 있다.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 및 사망자가 발생한 뒤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코스피는 크게 출렁였다. 3월 9일 2000선이 깨진 데 이어 8거래일만에 1500선마저 하회했다. 그러나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증시는 전고점 돌파에 이어 3000선을 넘어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