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 풍암호수 협의체, 새 개선안 마련할까
수심·수량 원형보존 기존 안 대신, 수질 3등급·수면적 유지 요구

풍암저수지 전경

[헤럴드경제(광주)=김경민기자] 수질개선과 수면적 유지 안에 대한 이견으로 내홍을 겪은 광주 풍암호수 주민협의체가 차기 집행부를 구성하면서 새로운 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8일 풍암호수 주민협의체에 따르면 협의체는 지난 22일 동 대표 6명과 광주시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수질개선 안 논의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이 자리에서 수량·수심 원형보존 등 전 집행부의 요구 사항과는 다르게 수질·수면적 유지를 골자로 한 심의안을 시청에 전달했다.

지난 19일 경기 고양시 일산 호수에 방문, 관계자들과 물관리 방안에 관해 토론한 결과 수량·수심 보존은 녹조 제거와 연관성이 낮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협의체는 최소 수질 3등급 유지, 매립 없이 현 호수 면적 보존 등 2가지 내용을 심의안에 담았다.

또 다음 달 12일 열리는 전체 회의에서 해당 심의안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회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세부 내용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협의체 관계자는 "녹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량과 수심도 중요하나 부차적인 문제"라며 "광주시가 고시했던 안, 원형보존 안 등 2가지를 절충해 10월 말까지 최종 수질개선 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협의체는 지난 6월 광주시 고시안을 수용하자는 전 집행부와 원형 보존 입장을 고수하자는 회원들 간 이견으로 집행부가 사퇴하는 파행을 겪었다.

협의체는 회원 모두가 찬성하는 최종 개선안을 만들겠다며 새로운 집행부에 김용섭 회장, 정희만 부회장 등을 선출했다.

2021년 고시된 광주시 안에는 수량 1.5m·수량 15t 변경 등의 내용이 담겼고, 회원들은 수심 4∼6m·수량 34만t·현 산책로 보존 등을 요구한 바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