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국립공원 지정 10년 앞둔 무등산 “정상부 복원 남은 과제”
광주서 시민토론회, 절반 넘는 사유지·무덤산 오명 등 지적
무등산 서석대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국립공원 지정 10주년을 앞둔 무등산이 옛 모습을 찾도록 정상부 군부대와 방송통신시설 이전을 서둘러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광주시의회에서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10년, 무등산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시민토론회에서 최관수 무등산국립공원공단 자원보전과장은 향후 과제로 정상부 경관과 자연환경 복원을 제시했다.

최 과장은 군사시설 설치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 차량 통행에 따른 토양 유실 등 생태계 파괴를 군부대 이전 당위성으로 들었다.

군사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정상부를 국립공원 이용객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탐방 기조 또한 군부대 이전이 필요한 이유로 삼았다.

해발 1187m 무등산 정상에 자리한 공군 부대는 2883㎡ 면적에 막사 등 18개 건물이 분포한다.

최 과장은 장불재와 중봉, 북봉 등 고지대에 자리한 방송사와 통신사의 전파 송신탑도 군부대와 같은 이유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 면적(75.425㎢)의 65.3%를 차지하는 사유지의 국유화 또한 최 과장은 지속 과제로 제안했다. 무등산의 사유지 비중은 전국 육상 국립공원 평균(32.1%) 대비 2배를 넘는 수준이다.

이밖에 5999기에 달하는 공원 구역 내 묘지를 이장(移葬)해 ‘무덤산’이라는 오명을 벗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무등산국립공원 정상부에 내린 눈이 하얗게 빛나고 있다. 연합뉴스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는 2017년 공원 내 분묘 조사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약 90기의 묘지 이장을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최 과장과 함께 발제자로 나선 윤희철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로 이사는 군부대 이전 후 생태계 회복까지 100년 이상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윤 이사는 무등산 중봉과 누에봉, 중머리재의 훼손지 식생 회복사업 현황 등을 토대로 이러한 예측을 제시했다.

그는 군부대가 주둔한 1966년 이전의 정상부 자연환경을 분석할 자료가 없는 만큼 복원 목표 설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의 제안에 올해 초 다시 등장한 ‘케이블카 설치’ 구상을 두고는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윤 이사는 한때 유행에 그칠 우려가 큰 단발성 관광상품, 적자에 허덕이는 타지역 운영 사례, 이동 약자의 편의에 효과가 없다는 이용 여건, 대규모 개발로 인한 환경훼손 가능성 등을 논거로 언급했다.

이날 토론회는 무등산난개발저지시민연대, 무등산국립공원복원시민네트워크,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 증심사, 원효사 등이 주최했다.

무등산은 9년 전인 2013년 3월 4일 우리나라 21번째 국립공원에 지정됐다.

국립공원 지정 이후 면적은 도립공원(30.23㎢) 당시 대비 약 2.5배, 관리 인원은 총 47명에서 137명으로 2.9배 증가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