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환자 아프게 만들고 명의되라?”…이창용 ‘한은 실기론’ 정면 반박
 
치솟는 환율, 11월 금통위서 “새롭게 고려할 요인”
“금리 더 내렸으면 환율 더 올라서 복잡해졌을 것”
건설경기 부양 통한 내수활성화엔 “적극 반대해”

[헤럴드경제(워싱턴D.C.)=양영경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제기된 ‘한은 금리인하 실기론’에 대해 “환자를 일부러 많이 아프게 만들고 약을 써서 ‘명의’ 되라는 견해나 다름없다”며 목소릴 높였다.

최근 1400원에 육박한 원·달러 환율은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통화정책 방향을 정할 때 새롭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꼽았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D.C.에서 국내 기자단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은행 제공]

이 총재는 25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D.C.에서 국내 기자단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금리를 미리 많이 올려놨으면 내리면서 효과를 봤을 텐데 덜 올려서 통화정책을 무용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금리를 많이 올려 자영업자를 더 힘들게 만들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망가뜨려 놓은 다음 금리를 내리면서 ‘이제 좀 덜 힘들지’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당초 예상(0.5%)을 크게 밑도는 0.1% 성장에 그치면서 한은이 금리인하 타이밍을 놓쳤다는 실기론이 확산하자 정면반박에 나선 것이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11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p) 낮췄다.

금리인하가 7월 이뤄졌어야 했다는 시각에는 “9월 가계부채가 10조원까지 늘고 서울 부동산값이 올라갔는데 그건 어떻게 할건지 묻고 싶다”면서 “금리를 더 내렸다면 지금 환율이 1380원대가 아니라 더 올라서 복잡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예측을 크게 빗나간 것에 대해선 “분기 숫자는 연간보다 변동이 훨씬 크다”면서 “4분기 실적치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 예상한 연간 성장률(2.4%)이 2.2~2.3%로 변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분기별 자료의 변동성을 이번에 처음 보는데 너무 일희일비하지 말고 ‘오버리액션’(과잉 반응) 하지 말아달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올해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2%보다는 반드시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4분기가 정말 안 나온다고 하더라도, 지금까지 성장 추세를 보면 성장률이 갑자기 망가져서 경기 부양을 해야 할 상황은 아니다”며 “주춤한 수출 성장세가 얼마나 영구적으로 갈 건지, 그에 대한 판단을 해서 내년도 성장률을 예측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 총재는 11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는 전달과는 달리 환율이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견고한 성장세 속에 금리인하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관측과 미 대선 결과에 대한 예상 등이 맞물리면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커졌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지난 10월 금통위에선 고려요인이 아니었던 환율이 다시 고려요인으로 들어왔다”면서 “둔화한 수출 성장률이 내년 경제성장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지, 현 거시건전성 정책이 금융 안정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미 대선 후에도 달러 강세가 어느정도 지속될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환율 수준에 대해서는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는 높게 올라있고 상승 속도도 빠르다”면서 “레벨보다는 스피드, 한 쪽으로 치우칠 때 시장 기능이 잘 작동할 수 있는지 보고 있다”고 했다.

이 총재는 건설경기 부양을 통한 내수 활성화에 대해서는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빨리 금리를 낮춰서 건설경기를 부양하자는 건 옛날부터 나오던 얘기지만 이런 생각 때문에 가계부채가 줄어든 적이 없다”면서 “가뜩이나 부동산이 어려운데 구조조정을 끝내고 거꾸로 건설경기를 살려서 이자 보증을 해주는 건 적극 반대한다”고 말했다.

각국 중앙은행 총재들은 미국 대선 결과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이 총재는 언급했다.

그는 “어느 후보가 되든 재정정책은 정도 차이가 있겠지만 계속 팽창적으로 갈 것”이라며 “미국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이용해 다른 나라가 못하는 재정 팽창 정책을 한동안 계속할 것이고, 이것이 글로벌 금리 수준을 낮추는 데 오랜기간이 걸리게 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또 “미국 선거를 반영해 지난 2주간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중앙은행 총재들은 선거 결과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25bp를 낮추더라도 강달러 추세가 쉽게 전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통화정책 효과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미국의 대중 정책과 관련해선 “누가 되든 큰 변화가 없고 전체적으로 강성으로 갈 것”이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되더라도 되는 순간부터 관세를 부과할지, 아니면 전략적으로 할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했다.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