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KAIST,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동물모델 개발
연세대·제이디바이오·한미약품
공동연구로 치료제 개발 전환점
GLP-1 유사체 억제효과도 확인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전 세계 인구의 30%, 비만하지 않은 인구의 19%가 앓고 있으며, 지방간에서 시작해 간암까지 진행되는 심각한 만성질환이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된 치료제인 ‘레스메티롬’이 있지만, 치료받은 환자의 70% 이상에서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하다.

국내 연구진이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전환점을 될 사람의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을 잘 모사하는 새로운 동물모델 개발에 성공했다.

KAIST는 김하일(사진)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박준용 연세대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 연구팀, 한미약품 R&D센터, 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동물모델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지방간에서 시작해 지방간염·섬유화·간경화·간암으로 진행되는 만성질환이며, 심혈관질환. 간 관련 합병증 등에 의해 사망률이 증가하므로 발병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사람의 질환을 모사할 수 있는 적절한 동물모델이 없어 병인기전의 규명과 치료제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기존 동물모델은 당뇨·비만 같은 대사이상이 간경화와 간암의 발병에 유발하는지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베타세포의 기능이 부족한 아시아인에서 비만과 당뇨병을 동반한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의 유병률이 더 높다는 점에 착안했다.

마우스에 약물을 통해 베타세포를 파괴하여 당뇨를 유발한 다음 고지방식이를 먹여서 비만과 당뇨를 동반한 지방간 질환이 빠르게 진행하는 동물 모델을 개발했다.

이 마우스 모델은 1년 동안 점진적으로 지방간, 지방간염, 간 섬유화, 간암이 나타니는데, 해당 마우스의 간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그 특징이 비만과 제2형 당뇨를 동반한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모델에서 발생하는 간암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 발생하는 간암과 조직학적·분자생물학적 특성이 유사한 것을 연구팀은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동물모델을 사용하여, 최근 비만 치료 효과로 각광을 받고 있는 GLP-1 유사체의 효과를 시험했다.

GLP-1 유사체의 투여가 이 마우스 모델에서 지방간, 간염과 간 섬유화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 마우스 모델이 신약 개발을 위한 전임상 모델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 GLP-1 유사체의 투여가 간암의 발생을 억제함을 최초로 규명, 대사이상지방간 질환의 주요사망요인이 간암의 발병 억제를 위한 GLP-1 유사체의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개발한 마우스 모델은 만성 대사질환의 특징을 잘 모사한다”며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동물모델로서 관련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2일자로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