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티메프 사태 이후, 이커머스 ‘역직구 유치전’ 치열해진다
동남아 거점 ‘쇼피’, K-셀러 유치 박차…‘7일 정산’ 강조
큐텐그룹 해체 국면에 해외 이커머스 역직구 경쟁 격화
국내 이커머스는 관망 분위기…“정부 지원 필요” 제언도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 내부. [연합]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큐텐그룹의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이후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이커머스(전자상거래)의 국내 역직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동남아시아와 한국을 중심으로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 사업을 키워 왔던 큐텐그룹이 해체 기로에 놓이면서다. 국내 이커머스 역시 역직구 사업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지역 기반의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 쇼피(Shopee)는 K-판매자(셀러)를 유치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티메프 사태와 관련해 짧은 정산 주기 등 안정성을 내세우며 국내 판매자 입점을 서두르는 분위기다.

쇼피는 최근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티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언급하며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의 길거나 제각각인 정산 주기와 긴 정산 주기로 확보한 정산 대금을 유용한 행위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쇼피에서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짧은 정산 주기로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쇼피의 정산 주기는 영업일 기준 7일이다. 최장 70일 뒤에 대금을 정산해온 티메프와 비교하면 아주 짧다. 고객이 상품을 받아 ‘구매 확정’ 처리를 한 시점부터 7일 뒤 가상계죄인 페이오니아에 송금되는 방식이다. 여기에 자동화된 가격 및 정산, 인출 체계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쇼피는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 판매자의 제품을 해외에 역직구로 판매하고 있다. 2016년 한국에서 크로스보더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9년 한국법인 쇼피코리아를 세웠다.

티메프의 모회사인 큐텐도 싱가포르를 비롯해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이커머스 사업을 전개했다. 경쟁 관계인 셈이다. 최근 티메프 사태 이후 큐텐그룹이 흔들리는 가운데 쇼피와 알리바바(Alibaba), 이베이(ebay), 아마존(Amazon) 등 해외 이커머스의 역직구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물류망과 고유한 인프라가 각자의 무기다.

앤드류 정 알리바바닷컴 부대표가 22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한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판매 가속화 지원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

중국 알리바바도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달 알리바바닷컴은 향후 5000개에 달하는 한국의 중소기업을 온라인 B2B(기업 간 거래) 무역 시장에 진출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실제 2020년부터 현재까지 타오바오, 티몰, 라자다 등 알리바바 플랫폼을 통해 총 34조원의 한국 상품이 중국과 동남아 시장에 수출됐다. 알리바바닷컴은 국내 판매자를 위한 전용 웹사이트 파빌리온도 선보였다.

반면 국내 이커머스는 숨을 죽였다. 쿠팡을 제외하면 역직구 사업에 소극적인 분위기다.

쿠팡은 지난 2022년 대만에 진출한 뒤 로켓배송 시스템을 도입했다. 쿠팡은 대만에서 국내 기업 제품을 일정 금액 이상 구매하면 다음날 대만행 첫 비행편을 통해 무료로 배송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2만1000개 이상의 판매자들이 쿠팡을 통해 대만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G마켓은 역직구몰인 G마켓 글로벌샵(영문샵·중문샵)을 운영하며 K-뷰티와 K-팝 제품을 판매하며 해외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쇼피와 G마켓 판매 상품 입점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업계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상황에서 해외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국내 이커머스 침투율(전체 소매시장 중 이커머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44%로 알려졌다. 일본이나 중국, 미국이 15%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높은 편이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포화상태인 데다 외국계까지 참전하면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그렇다고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이 해외로 진출하기에는 비용 등 여러 문제 때문에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텐데, 기업의 노력에 더불어 정부도 관심을 갖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kimsta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