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0조 쌓은 삼성, ‘반도체 빅딜’ 언제쯤? AMD·소프트뱅크는 M&A 나서는데… [비즈360]
AMD·소프트뱅크, AI 기술 강화 M&A 진행
AI 시대 도래로 활발해진 반도체 M&A 시장
삼성전자 빅딜 나설까…IP·팹리스 시너지 기대
삼성전자 서초사옥.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크고 작은 규모의 인수합병(M&A)을 진행하며 관련 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그간 반도체 M&A 시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국가 간 규제 문제로 잠잠했지만, AI 시대의 도래로 AI·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가 나타나는 모양새다. 현금 100조원을 쌓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AI·SW 시너지 노린다…활기 찾은 M&A 시장=24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최근 다양한 M&A를 통해 기술 경쟁력 보완에 나서고 있다.

AMD는 최근 ‘사일로 AI’를 6억 6500만 달러, 한화 약 9205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핀란드에 본사를 둔 사일로 AI는 개별 기업에 맞춤형 AI 모델을 만드는 스타트업이자, 유럽 최대 민간 AI 연구소다. 독일 보험 기업 알리안츠와 영국 다국적기업 유니레버, 영국 럭셔리 자동차 제조사 롤스로이스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엔드투엔드 AI 기반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며, 포로(Poro), 바이킹(Viking) 등의 오픈소스 LLM(거대 언어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리사 수 AMD CEO [헤럴드DB]

사일로AI는 AI 분야에서 소프트웨어에 강점을 둔 기업이다. AMD는 AI 가속기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대항마를 자처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다. 차세대 AI 가속기 MI300X의 경우 엔비디아의 제품에 못지 않는 스펙을 가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및 관련 생태계 약화가 취약점으로 꼽힌다. 소프트웨어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AMD는 지난해에도 AI 소프트웨어 기업 ‘밉솔로지’와 ‘노드.ai’를 인수한 바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AI 서버용 칩 시장에서는 엔비디아가 약 90%, AMD 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도 최근 영국의 반도체 스타트업 ‘그래프코어’를 인수하며 AI 기술 강화에 나섰다. 그래프코어는 한때 엔비디아의 경쟁자로 평가받았을 만큼 AI 칩 개발에 특화된 회사다. 영국의 반도체 베테랑들이 설립해 AI 앱을 활성화하는 IPU라는 새로운 칩을 설계했다. 딥러닝과 같은 고성능 컴퓨팅 작업을 처리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헤럴드DB]

그러나 기술 상용화를 위한 투자금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2020년 말 27억7000만 달러에 달했던 회사 가치는 2년여 사이 곤두박질 쳤다. 그래프코어의 2022년 매출은 270만 달러(약 37억원), 세전 손실은 2억5000만달러(약 3449억원)에 달했다.

소프트뱅크는 자사가 지분 90%를 보유한 글로벌 반도체 IP(지적재산) 기업 ARM과 그래프코어의 시너지를 꾀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소프트뱅크의 그래프코어 인수 금액을 약 6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이밖에도 주요 반도체 부품 기업 머크가 최근 유니티SC를 인수했고, 마이크로칩이 뉴로닉스 AI 랩스를 인수했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서 AI 기술 업체들을 대상으로 크고 작은 인수합병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삼성 현금 보유금 100조원 육박…진짜 빅딜은 언제?=이처럼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M&A 시장이 꿈틀대기 시작하면서 삼성전자의 차기 빅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최근 AI 분야 업체에 대한 투자 및 M&A를 늘리고 있다. 최근 미국 DNA 분석 장비 기업 ‘엘리먼트 바이오사이언스’에 시리즈 D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정확한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체 시리즈 D 투자 라운드 규모는 총 2억7700만달러(약 3800억원)였다. 이달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 그래프’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를 인수했다.

삼성전자가 최근 인수한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 그래프’ 기술 보유 스타트업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로고 [삼성전자 제공]

그러나 시장의 판도를 바꿀만한 빅딜은 아직 성사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삼성전자가 1분기 기준 쌓아놓은 현금은 97조3900억원에 달한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삼성이 조만간 빅딜을 추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전자의 마지막 대형 M&A는 지난 2017년 전장·오디오 회사 하만이었다. 인수 후 초반 실적 부진으로 아픈 손가락으로 꼽혔던 하만은 지난해 처음으로 연간 영업이익 1조원을 넘기며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하만 이후 7년째 삼성의 빅딜은 감감무소식이다. 그러나 삼성은 꾸준히 공식 석상에서 M&A 가능성을 언급해왔다. 올해 1월 열린 ‘CES 2024’에서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대표이사 부회장은 “삼성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한 대형 M&A에 대한 계획은 올해 나올 것으로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4월에도 “DA(생활가전), VD(영상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의료기기 사업부 등도 M&A를 하려고 많이 보고 있다”며 “(스타트업 인수나 투자와 달리) 큰 M&A의 경우 상대방과 거래 조건 조율 등으로 단시간에 이뤄지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IP, 팹리스(반도체 설계), AI 등 관련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고 본다. 동시에 가전 등 전체 사업과의 시너지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로봇 및 전장, 통신 업체들도 언급된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