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광장] 뉴진스 도쿄공연이 일깨운 한일관계 본색
이현주 전 국제안보대사

지난달 말 K팝 걸그룹 뉴진스의 도쿄돔 공연이 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궜다. 특히 그룹 멤버인 하니가 불렀던 ‘푸른 산호초’라는 80년대 일본 아이돌 가수의 노래가 ‘일본 아재’들의 추억을 자극했다. 잃어버린 30년을 겪고 팍팍하게 살아가는 일본의 노년들이 80년대의 ‘좋았던 옛날’을 떠올렸다고 한다.

필자가 초임 외교관으로 일본에 연수 갔던 80년대 일본에서는 치비코(아동) 노래자랑과 아이돌 가수들의 노래가 유행하고 있었다. 시간의 선후로 보면 K팝은 그 시대의 영향도 받았을 것이다. 지금 일본은 좀 더 글로벌하게 창작된 K팝을 한국으로부터 역수입하고 있는 것이다. 뉴진스의 일본공연 이야기가 한일관계의 본색도 일깨웠다.

국가 간의 문화교류는 평화와 우호를 상징한다. 그러나 힘을 앞세운 억압과 왜곡에 의한 문화적 지배는 반감을 일으킨다. 1988년 봄 당시 이원경 주일대사가 도쿄에 부임한 후 일본 방송과 인터뷰를 하게 됐다. 그는 한국어와 일본어 중 어느 언어를 쓸지 주변에 조언을 구했다. 일제강점기 세대인 그는 당연히 일본어가 유창했다. 그런데 한 한국 특파원이 그에게 필자를 가리키며 “이 분이 일본어를 잘 하면 자랑거리죠. 스스로 필요해서 배운 거니까요. 그러나 대사님은 일본어를 쓰지 마세요. 강제로 배운 말이니까”라고 조언했다. 강제당한 문화와 자유롭게 흡수한 문화의 차이를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다. 이 대사도 공감했다. 19세기 일본제국주의가 저지른 역사왜곡과 억압이 오늘의 한일 갈등 구조를 초래했다. 친일·반일 논쟁은 그 강제당한 기억의 트라우마다. 그렇다면 지금 젊은 세대가 일본문화를 즐기는 것은 친일인가? 아니다. 그것은 자유로운 문화교류다.

2000년 미국은 미국영화 상영 횟수를 제한하는 스크린쿼터제를 폐지하라고 강하게 요구하고, 한국 배우들은 한국영화를 지킨다고 삭발로 저항했다. 필자는 당시 음악방송을 진행하던 배철수 씨가 쓴 “나의 직업은 DJ(디스크자키)다”로 시작하는 글을 아직도 기억한다. “70년대에 DJ는 미국의 팝송만을 틀었는데 지금은 모두 한국가요를 튼다. 한국가요가 그만큼 발전한 것은 가요쿼터제 같은 것으로 팝송을 제한했기 때문이 아니다. 우리가 팝송을 들으며 흉내 낸 덕분이다”는 내용이다. 그들은 팝송을 들으며 한국가요를 창조했다. 최근 작고한 김민기의 서정적 가요는 70년대 독재권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했다. 한국인의 개방성과 창의성, 그리고 스스로 쟁취한 자유의 결실이 곧 K팝이다.

K팝의 세계화를 가능케 한 자유와 개방은 자유민주주의 가치이념의 조건이기도 하다. 주변 독재국가들은 창작과 교류를 통제하며 문화를 왜곡한다. 그나마 일본은 자유롭고 개방적이다. 그래서 한국과 일본은 자주 다투면서도 좀 더 가깝게 어울릴 수 있는 이웃이다. K팝의 창의성은 음악의 기본과 종합예술적 콘셉트에서 나온다. 뉴진스의 기획자는 ‘시장에서 이기겠다는 치열함과 책임감’도 강조했다. 그런 것은 외교에도 절실한 덕목이다. 한일관계가 비틀어진 근본원인은 양쪽 모두 외교의 기본과 콘셉트에 충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린 가수들이 한국과 일본이 공유하는 가치를 일깨우고, 외교에도 필요한 치열한 창의력을 환기시켰다.

이현주 전 외교부 국제안보대사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