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현대차그룹, 북미서 ‘해외 전기차 브랜드’ 판매 1위 등극…‘아이오닉 5’ 탑4에 올라
KAMA,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 판매동향 보고서
전기동력차 70만8509대…전년 대비 6.4%↑
한국계 브랜드 판매량 신장률 60.8% “성장세 기록”
현대자동차 미국법인 앞에 주차된 G70.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업체들의 북미 전기차(BEV) 판매 신장률이 60.8%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완성차 브랜드를 제외한 수입 전기차 브랜드 중에서도 국산 전기차의 판매량이 가장 많았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회장 강남훈)가 22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BEV·PHEV·FCEV 합산) 판매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의 전기동력차 판매대수는 70만8509대로 전년 동기대비 6.4%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신장률이 54.8%까지 치솟았던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전기차 판매량은 53만638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2%p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전체 승용차 판매량에서 전기차가 차지한 비중은 6.9%로 전년대비 0.1%p 감소한 모습이었다. 반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는 전년대비 35.7%로 높은 증가세를 보여, 전체 전기동력차 감소세를 완화했으며 수소전기차(FCEV)는 전년대비 82.4% 감소한 322대가 판매됐다.

국적별로 봤을 때는 국산 자동차의 활약이 눈에 뗬다. 현대차와 기아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인 한국계 브랜드 판매량은 상반기 신형 BEV 투입과 법인판매, 제작사 프로모션 확대 등으로 BEV 판매는 60.8% 증가했다.

반면 PHEV는 국내 생산조정 작업으로 출하량이 제한되며 3.5% 소폭 감소했고, 이를 종합한 전체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46.4% 증가했다.

상반기 미국계 전기동력차 판매는 포드와 GM, 스텔란티스의 선방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판매감소로 전년 대비 0.5% 증가에 그쳤고, 판매비중 역시 전년도 70.1%에서 66.2%로 3.9%p 감소했다.

유럽계 브랜드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인센티브 요건 강화로 BEV 수혜모델이 축소되면서 전년대비 14.9% 감소 판매비중도 3.3%p 하락한 13.2%로 줄었다.

전체 전기차 판매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국계 판매량은 6만1843대, 유럽계는 5만3549대, 일본계는 3만4777대, 미국계는 38만6213대였다. 현지 내수브랜드인 미국계를 제외한 순위에서 한국계가 유럽계와 일본계를 앞지르고 전기차 판매량에서는 1위를 차지한 셈이다.

한국계 브랜드는 모델별 판매량에서도 약진했다. 전기차 모델별 판매량 순위에서 현대차 아이오닉 5는 4위, 기아 EV6는 10위, 기아 EV9는 11위, 기아 니로는 14위, 현대차 아이오닉 6가 18위에 오르며 20위권에 5개 모델이 랭크됐다. 반면에 미국 전기차 판매량 1위 브랜드인 테슬라의 모델 Y와 모델 3는 지난 해에 이어 1, 2위 자리를 수성했지만 판매 둔화에 따라 양 모델의 합계 점유율은 약 10%(55.7%→46%)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보고서는 “전기차 수요 둔화와 규제완화, 미 대선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 등의 여파로 계획을 늦추거나 축소하는 기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GM은 혼다와의 전기차 합작계획을 철회한 데 이어 전기픽업 출시일을 1년 연기했고, 포드는 전기차 판매 둔화로 EV생산 축소와 하이브리드차(HEV) 생산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테슬라는 2030년 글로벌 2000만대 판매목표를 삭제했고 벤츠는 30년까지 100% 전기차 전환목표를 수정하여 30년 이후에도 내연기관 탑재모델 판매 가능성을 시사한 상태다. 또한 토요타는 전기차 투자 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및 가솔린 차량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도 4분기 가동예정인 전기차 전용공장에서 HEV생산을 포함한 추가기술 생산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전기동력차관련 정책 불확실성과 시장 변동성도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산 전기차관련 소재 및 부품의 관세인상으로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생산원가부담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KAMA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와 연방 환경규제와는 별도로 독자적인 환경규제와 내연기관 퇴출을 선언한 주정부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따라 장기적으로는 제작사의 전기동력차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봤다.

이어서 “자동차산업이 전동화 전환능력을 상실하지 않고 다가오는 포스트케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등 투자인센티브 제도의 연장이 필요하다” 고 조언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