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사설] ‘계속고용’ 논의 현대차, 저출생 시대 노동인력 물꼬 트길

현대자동차 노사가 지난 8일 올해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면서 6년 연속 무파업 타결을 달성할 것이 유력하다. 주목되는 것은 사회적 관심이 높은 ‘정년(만 60세) 후 계속고용’에 대한 논의를 본격 시작했다는 점이다. 정년 이후에도 생산직 근로자가 원하면 1년 더 근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숙련 재고용 제도’를 ‘만 62세 까지로 1년 더 늘리기로 했다. 현대차는 나아가 생산직 근로자에 대한 계속고용을 도출하기 위해 노사 동수로 ’정년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꾸리기로 했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100대 기업 중 현대차는 지난해 경제기여액이 111조3898억원으로 삼성전자(147조1710억원)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3만여 명의 생산직 근로자들이 일하는 현대차의 계속고용은 국내 산업계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현대차가 ‘정년 연장 TF’를 꾸리기로 한 건 단순히 노동조합의 요구 때문만은 아니다. 저출생 여파로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는 만큼 안정적인 노동 인력 확보는 기업 경쟁력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다. 관건은 역시 인건비다. ‘정년퇴직 후 재고용’ 방식이냐, ‘정년 연장’ 방식이냐에 따라 기업 부담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산업계에선 현대차가 201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의 대상과 연령을 확대하는 식으로 노조와 계속고용에 합의하면 기업 부담 최소화와 숙련 근로자 확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는 이제 겨우 계속고용에 대한 첫발을 뗐지만 초고령사회를 먼저 경험한 일본의 대표기업 도요타는 일찌감치 ‘액티브 시니어’를 활용해 왔다. 도요타는 정년이 60세지만, 65세까지는 재고용 형태로 대부분의 사원이 일할 수 있는 제도를 운용 중이다. 65세 이상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만 고용하고 있는데, 올 8월부터는 이를 70세까지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 일본의 65~69세 취업률이 52.0%에 달한 것은 계속고용을 70세까지로 확대한 기업 비중이 30%에 달한데 힘입었다.

한국은행은 최근 1차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705만 명의 은퇴로 연간 경제성장률이 0.33%포인트 떨어졌는데, 올해부터 11년간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가 은퇴하면 이보다 더 큰 연간 0.38%포인트의 성장률이 하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32년까지 연평균 2% 수준의 성장률을 유지하려면 매년 89만4000명의 노동력이 공급돼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고령층의 고용 유지가 필수적이라고 진단했다. 현대차의 계속고용이 저출생 고령화 시대 노동인력의 확보에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