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하반기에 집값 오른다…상승 전망 확 늘었다 [부동산360]
부동산R114 하반기 시장 전망
상승(36%), 하락(21%) 응답
전월세도 상승 예상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10명 중 3명 이상이 하반기 주택 매매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세는 가격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의 세 배를 웃돌았다.

부동산R114가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 1028명을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3명 이상(3.6명)이 하반기 주택 매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직전 조사에서 상승 응답이 하락 응답을 2년 만에 역전(상승 30%, 하락 25%)했는데 이번 조사에서 상승(36%)과 하락(21%) 사이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다만 직전 조사와 마찬가지로 보합에 대한 전망이 10명 중 4명 수준으로 여전히 가장 많은 답변을 차지했다.

매매가격 상승 응답자 다수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2.05%)’을 이유로 선택했다. 올해 들어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 등의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늘어나면서 외곽지 중심으로 거래량은 물론 가격도 회복세에 들어갔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 다음으로는 ‘기준 금리 인상 기조 변화(23.56%)’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지난 해 2월 이후 1년 이상 연 3.5% 수준에서 동결됐고, 미국도 같은 해 9월 이후 1년 가까이 연 5.25~5.5%로 금리를 등결해 하반기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인하)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밖에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 (11.23%)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9.32%)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7.40%) 등이 꼽혔다.

반면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경기 침체 가능성(39.91%)’을 이유로 선택했다. 과거 대비 낮아진 경제성장률 전망(저성장)과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 ▷대출 금리 부담 영향(14.22%) )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10.55%) )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0.55%) ) ▷이자 및 세금 부담으로 인한 매물 증가(7.80%) 등이 뒤를 이었다.

임대차 가격에 대한 답변은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을 크게 압도했다. 전세 가격은 상승 응답이 42.80%, 하락 응답이 13.33%로 상승 비중이 3배 이상 많았다. 월세 가격 전망도 상승 응답이 44.75%, 하락 응답이 9.82%로 4.6배나 더 많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440명 중 30.91%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 주요지역 위주로 회복된 가격에 대한 부담감과 과거 대비 높은 대출 금리 등으로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19.55%)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물량 부족(19.55%)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12.05%) ▷월세가격 오름세에 따른 전세가 상승 압력(10.68%)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26.28%)’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약 1만2000가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단지)의 입주가 2025년에서 2024년 11월로 빨라지면서 인접 지역에서의 전세가격 하락 기대감이 커진 분위기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18.25%)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15.33%) ▷전세보증보험 가입요건 강화 영향(10.22%) ▷2020~2021년 전세가격 급등 부담감(10.22%) 등이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됐다.

소비자들은 올 하반기 핵심 변수로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33.95%)’을 1순위로 꼽았다. 그 외 주요 변수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5.66%)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1.87%) ▷전월세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8.95%)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8.85%) ▷정부의 270만호+α 주택공급 정책(6.03%) ▷건축비 등 물가상승(인플레이션) 요소(6.03%) ▷PF 부실 및 금융권 연체율 상승 가능성(5.25%) 등에 응답했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