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인도 경제 강점과 기회 [나렌드라 자다브 - HIC]

이 기사는 해외 석학 기고글 플랫폼 '헤럴드 인사이트 컬렉션'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인도 경제 강점과 기회

사람들은 인도 경제가 새롭게 도약할 준비가 됐다고 한다. 정말 그럴까.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이른바 스왓(SWOT) 분석을 해봐야 한다. 필자는 이번 칼럼에서 ‘강점’과 ‘기회’를, 그리고 다음 칼럼에서는 ‘약점’과 ‘위협 혹은 도전과제’를 다루고자 한다.

■인도 경제의 강점

▶탄탄한 펀더멘털

인도의 경제적 르네상스는 1991년, 만모한 싱 당시 재무장관이 인도에 절실히 필요했던 개혁을 시작하면서 본격화됐다. 그리고 지난 30여년간 인도 경제는 연평균 실질 GDP 성장률 약 6.5%라는 인상적인 성장을 기록해 왔다. 평균 소비자물가지수(headline CPI)는 2013~14 회계연도(FY 2013~14)에 최고 9.4%에 달했지만, FY 2024~25에는 약 4.5%로 완화될 전망이다. 중요한 대목은 이 탄탄한 경제 성과가 재정 건전성은 해치지 않으면서 달성됐다는 사실이다. 최근 일부 경제 대국과 달리, 인도의 정책 입안자들은 보수적인 자세를 취하며 FY 2023~24 재정적자를 GDP 대비 5.8%에서 5% 수준으로 낮췄다.(인도준비은행에서 중앙정부로 이입된 이례적으로 큰 규모의 잉여금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경상수지 적자는 서비스 무역 흑자의 대폭 상승 덕에 FY 2023~24에 GDP 대비 1% 미만으로 하락했다. 이것은 넉넉한 외환보유고(10개월 치 수입 수요량 이상)와 더불어 대외 부문이 꽤 견조하다는 신호다. 이런 탄탄한 펀더멘털(기초 여건)은 향후 대외적 충격이 발생할 경우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다.

▶건전성 높은 금융 시스템

글로벌 금융시스템이 붕괴했을 당시(2008년), 인도를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가 경제적 나락에서 국가 경제를 구하기 위해 경기부양책에 의존했다. 그 결과, 코로나 팬데믹 이전 10년, 즉 2010~2020년에 인도의 재정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심각한 ‘쌍둥이 부실 문제(twin balance sheet crisis)’에 봉착했다.

①기업의 과다부채(즉, 과다 차입). 이에 따라 기업의 부채자본비율이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FY 2015 기준 1.16)

②은행의 총 부실자산 급증.(2018년 3월 11.6%로 증가)

이에 대응해 인도 당국은 사법 제재를 시행하기 위해 포괄적인 도산 및 파산법(Insolvency and Bankruptcy Code)을 도입했으며(2016년), 이 법은 은행의 대출 회수가 상당히 개선되는 계기가 됐다. 또한 공영은행의 대규모 채무 면제, 막대한 자본 투입(공영은행의 자본 재조정) 등과 더불어 공영은행 간 합병이라는 과감한 조치가 단행됐다.(현재 공영은행 수는 기존 27개에서 12개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조치들이 합쳐진 결과, 기업의 부채자본비율은 FY 2023에 0.85로 낮아졌으며, 총 부실자산은 2023년 9월, 3.2%로 극적인 하락을 기록하는가 하면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본 비율(CRAR)은 2017년 9월, 약 1%에서 2023년 9월, 많게는 16.5%로, 비약적으로 개선됐다.

이런 쌍둥이 부실 문제의 해결은 인도 금융 시스템에 무척 좋은 전조다. 심각하게 쪼그라든 대출 능력으로 마비됐던 은행들은 활기를 되찾았다. 기업들은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충분한 여력을 갖게 돼 너무나 필요한 민간 투자의 부활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됐다.

▶포괄적 인프라 지원

지난 10년(2014~2024년)간 인프라에서는 괄목할 만한 지원이 이뤄졌다. 일례로 코로나 팬데믹 이전 기간(2014~2020년)에 평균적으로 GDP 대비 약 1.7%였던 중앙정부의 연간 자본 지출이 FY 2021에는 GDP의 2.2%로 급상승했고, 상승세가 꾸준히 이어져 FY 2024년에는 GDP 대비 3.2%에 근접하고 있다. 중앙정부가 중점을 두는 인프라 사업은 주로 고속도로 부문(약 58%)과 철도(13%)이며, 석유, 석탄, 전력이 그 뒤를 잇는다. 또한 중앙정부는 각 주가 자체 인프라 활동의 속도를 올릴 수 있도록 무이자 장기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도로망이 현재 일일 30km라는 유례없는 속도로 확장되고 있고, 철도가 일일 약 7.8km씩 연장되고 있다는 사실은 놀랍지도 않다. 항만과 운송 부문의 경우, 연간 물동량(100만미터t기준)이 2013~2023년 기간 동안 약 43% 증가했으며, 그 결과 2014년에 44위에 머물렀던 인도의 국제 운송 순위는 채 10년도 되기 전에 22위로 올라섰다.

게다가 2019년에는 인도의 인프라 향상을 목표로 한 국가 인프라 구축계획(NIP)(대형 인프라 사업들이 포함된다)이 수립됐다. 국가 이 구축계획은 현재까지 9300여 개의 프로젝트를 발굴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이미 진행 중이다.

이런 활발한 인프라 지원은 인도 경제의 향후 성장에 큰 몫을 하게 된다.

인도 찬디가르 시민들이 지난달 29일 바베이도스에서 열린 국제크리켓위원회(ICC) 주최 남자 T20 월드컵 결승전에서 인도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물리치고 우승하자 환호하고 있다. [AFP]

▶디지털 결제의 선두 주자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 이니셔티브를 통해 인도 당국은 2009년 개국한 인도 단독신원정보국(UIDAI)이 만든 토대 위에 최근 10년간 수많은 디지털 공공 인프라 사업을 수립했다. 이 중 두 가지가 특히 눈여겨 볼 만하다. 하나는 통합결제 인터페이스(UPI)에 기반한 디지털 결제이고, 다른 하나는 인디아 스택(India Stack)이다.

UPI는 여러 개의 은행 계좌를 하나의 모바일 앱에 통합하는 시스템으로, 원활한 송금(라우팅), 번거롭지 않은 가맹점 결제 등 여러 가지 금융 기능을 모두 하나로 합친 것이다. 한편 인디아 스택은 기본적으로 개방형 포괄 디지털 신원, 결제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인디아 스택은 인터넷 시대를 위한 일종의 국가적 배관 시스템으로서, 금융 및 사회적 통합에도 중요한 수단이다.

인도 국제경제관계연구소(ICRIER · Research on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화 순위에서 인도는 그림 1과 같이 G20 국가 중 미국과 중국을 이어 3위에 올라 있다.(한국은 6위, 영국과 독일은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인도 국립결제공사(NPCI · National Payments Corporation of India)의 자료를 보면 2023년, UPI 거래량은 전년 대비 59%가 상승한 약 1350억 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동 기간 45% 증가를 기록했다.

인도 중앙정부(인도준비은행)에 따르면 2022년, 인도는 전 세계 모든 디지털 거래의 46%를 차지한다. 특히 인도의 전자 거래 중 80%가량이 UPI를 통해 이뤄졌다.

인도의 인상적인 디지털 인프라는 비단 전자상거래와 공익 실현을 촉진하는 용도에서 그치지 않고,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기술 스타트업 생태계를 활용하는 데도 사용된다. 디지털 인프라는 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실하게 제고했으며, 지방의 서비스 보급률도 끌어올렸다.

한편 인도의 결제 게이트웨이인 UPI는 미국 주도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시스템의 전략적 대안이 될 수 있다. UPI는 이미 싱가포르, 아랍 에미리트, 네팔, 스리랑카, 모리셔스에 확산됐고 최근에는 프랑스, 즉 사실상 유럽 시장에도 지출했다.

▶인도의 빠른 녹색 에너지 전환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도의 에너지 수요 중 80% 이상은 3가지 연료, 즉 석탄, 석유, 고체 바이오매스에 의해 충족됐다.(열거된 순서대로) 이 그림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도는 녹색 에너지로 발 빠르게 전환 중이다. 사실 인도는 2047년(인도 독립 100주년이 되는 해)까지 에너지 독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이른바 ‘넷 제로(Net Zero)’(이산화탄소를 지속적 배출량만큼 감축하는 것)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여정은 순조롭다. 총 재생 에너지(태양, 풍력 및 수소 에너지)의 경우 사실상 무(無)에서 시작됐다. 인도는 지금 연간 재생에너지 증가량에서 가장 성장 속도가 빠른 나라다.

최근 10년 사이, 재생에너지의 총 설비용량은 2014년에 76기가와트(GW)였던 것이 2024년, 191GW로 증가했다. 2024년 3월 기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총 설비용량의 43%를 차지한다(40%인 글로벌 공약을 달성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가 총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미만이다.

재생에너지 중 태양 에너지의 경우, 인도의 성과는 경이로울 따름이다. 인도 중앙 전력국(Central Electricity Authority)에 따르면 태양에너지 용량은 2014년 기준 2.6GW에서 2024년에는 74GW로 급상승했다. 최근 태양 에너지의 연간 증가량은 무려 10GW~12GW에 이른다.

인도 당국은 2030년까지 총 재생에너지 용량 목표인 500GW를 달성하고, 총발전량 대비 재생에너지 비중 50%에 도달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인도의 감탄할 만한 성과가 가능했던 것은 일련의 국가적 사업 덕분이다. 특히 두 가지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바로 국가태양광사업(National Solar Mission)과 국가녹색수소사업(National Green Hydrogen Mission)이다.

국가태양광사업은 2010년에 수립됐으며, 2015년 이후 크게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한편 국가녹색수소사업은 2023년 1월에 마련됐다. 녹색수소는 여러 산업 부문을 탈탄소화하고,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며, 신뢰할 수 있는 녹색 에너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시작은 평범했지만, 이 사업은 시간이 지나며 탄력을 받을 수 있고, 2015년 파리 협정이 상상한 것처럼 2050년까지 이른바 넷제로 달성을 향해 빠르게 나아갈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인도 경제의 ‘강점’을 살펴봤으니, 이제는 훨씬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탁월한 건전성을 토대로 인도 경제가 이용할 수 있는 주요 ‘기회’로 주의를 돌려보자.

나렌드라 모디(가운데) 인도총리가 2014년 9월 25일 뉴델리에서 자국 제조업 육성 정책인 '메이크 인 인디아' 로고를 공개하고 있다. [AP]

■인도 경제의 기회

어떤 국가라도 규모는 무척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인도 경제는 부러움을 살 만하다. 현재 인도는 인구가 14억4000만명(2024년 1월)에 달하는 세계 최고의 인구 대국(중국 인구가 14억3000만명이다)이며, 모든 경제 대국 중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4조달러 규모의 경제다. 의심할 여지 없이 인도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모든 상품에 걸쳐, 그리고 서비스 부문에서도 인도는 생산, 소비, 거래(국내외), 그리고 투자(국내 민간 및 해외) 면에서 엄청난 기회를 가지고 있다.

최근까지 오랫동안 이런 장점을 누린 것은 중국이었다. 더는 아니다. 앞으로는 점점 더 그럴 것이다. 중국 경제가 지정학적 불확실성 외에도 굵직한 구조적 문제와 씨름하고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one)’ 정책을 택하는 나라가 꾸준히 늘어나는 상황에서, 인도 경제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전에 없던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도 경제에 중요한 기회는 뜻밖에도 인구배당효과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표1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①인도의 중위 연령(인구를 절반, 즉 50대 50으로 나누는 연령)은 27.6세(2022년)로 가장 젊은 편에 속한다. 이는 아시아의 주요 신흥 시장 경제(29~33세 사이)보다 약간 낮고, 중국과 미국(약 38세), 서유럽과 한국(약 43세)보다는 훨씬 낮으며, 일본(48세 이상)과의 격차는 그보다 더 크다.

②일본(1993년), 미국(2008년), 중국(2010년), 한국(2015년) 등 대부분의 국가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연령집단에 속한 인구)가 정점을 지난 상태다. 반면 인도의 생산가능인구 최고점은 지금부터 11년 뒤인 2035년으로 훨씬 멀다.

절대적 기준으로 보면, 약 9억5000만명인 인도의 생산가능인구(2022년 기준)는 2035년까지 꾸준히 증가해 약 11억2000만명이라는 가공할 만한 수준에 이를 것이다. 이것 역시 전무후무하다. 중국의 생산가능 인구가 2010년 정점에 도달했을 때, 그 수는 절대적 기준으로 약 9억3000만명, 즉 인도보다 1억9000만명가량 적었던 것으로 추산된다.

이 추산은 또한 세계 다른 나라(중국, 미국 및 기타 선진국)에서 부양비(생산가능 인구 대비 피부양자, 즉 15세 미만 및 64세 초과 인구의 비율)가 상승하고 청년 인구가 줄어드는 동안 인도는 인구의 약 70%가 35세 미만인 행운을 누린다는 의미다.(Jadhav, 2020: Future of Indian Education System, 13면)

다시 말해 아시아의 대국들 그리고 선진국들이 고령화로 인한 각종 문제에 시달릴 때, 원칙적으로 인도는 적어도 2025년까지도 인구배당효과를 누릴 거라는 뜻이다. 따라서 인도에는 적어도 앞으로 10년 정도, 고령화돼 가는 세계 가장 필요한 것을 잠재적으로 보완하며, 그 과정에서 미국과 중국 수준의 경제 초강대국으로 부상할 특별한 기회의 문이 열려 있는 것이다.

.
헤럴드 인사이트 컬렉션 (Herald Insight Collection)
'헤럴드 인사이트 컬렉션(HIC·Herald Insight Collection)'은 헤럴드가 여러분에게 제공하는 ‘지혜의 보고(寶庫)’입니다. 제프리 삭스 미 컬럼비아대 교수, 배리 아이켄그린 미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 교수 등 경제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 뿐 아니라, 양자역학·인공지능(AI), 지정학, 인구 절벽 문제, 환경, 동아시아 등의 주요 이슈에 대한 프리미엄 콘텐츠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칼럼 영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was published on Herald biz website. Please visit 'Herald Insight Collection' and read more articles.

헤럴드경제 홈페이지의 상단 '해외 석학 칼럼'에서 확인하세요.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