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주중 美대사 “中, 미 대사관 업무 지속 방해”…관계 개선 진정성 의심
대사관 행사 참석 중국인 심야 조사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 대사가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있다. [AFP]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중국 정부가 중국 국민들과의 접촉을 위한 주중 미국대사관의 공공외교 활동을 지속적으로 방해하고 있다고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가 밝혔다.

번스 대사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11월 미·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 국가안전부와 다른 정부 기관들이 중국 시민들에게 대사관 주최 공공 행사 참석을 금지하고, 참석자들을 위협하는 사례가 61건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번스 대사는 또한 주중 미국대사관이 개최한 정신 건강 전문가 대담, 여성 기업가 정신 관련 패널 토론, 다큐멘터리 상영, 문화 공연 등의 행사에 참석한 일부 중국인들이 당국에 의해 심문을 받았으며 심지어 자택에서 밤늦게 조사를 받은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중국 학생들의 미국 대학 진학을 어렵게 만들고, 미국 외교관이 참석하는 대학 진학 상담 행사를 취소함으로써 중국 학생과 학부모들이 미국 대학에 대한 정보를 얻는 기회를 박탈했다고 전했다.

번스 대사는 또한 지난 2년간 미국이 지원하는 인적 교류 프로그램에 선발된 중국인 참가자 중 절반 가까이가 중국 정부와 학교, 회사 등의 압력을 이유로 참가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사례들은 일회성이 아니라 일상적인 현상이며, 대사관이 주관하는 거의 모든 공공 행사가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번스 대사는 강조했다.

번스 대사는 이를 “심각한 침해 행위”로 규정하며 중국 정부의 재고를 촉구했다.

그는 또한 중국 정부가 지난 3년간 주중 미국대사관의 중국인 직원 채용을 허락하지 않아 미국행 비자 신청을 심사할 중국인 직원 수가 줄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 측은 미국 정부가 중국 외교관들의 미국 내 이동에 제한을 가하고, 미국 비자를 받은 중국인 학생들이 도착 시 과도한 조사를 받거나 입국이 거부되는 경우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번스 대사는 이에 대해 미국 당국자가 가끔 실수할 수 있지만 학생 비자를 소지한 중국인 대부분이 문제없이 미국에 입국하고 있으며, 지난해 미국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장 많은 신규 학생 비자를 중국 국민에게 발급했다고 반박했다.

번스 대사는 국무부 대변인, 그리스 주재 대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주재 대사, 국무부 차관 등을 역임한 경험 많은 외교관으로, 2022년 4월부터 주중 미국대사로 재임하고 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