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화성화재 부른 리튬, ‘일반화학물질’로 분류…관리 사각지대 방치
화학사고 위기대응 매뉴얼, ‘유해화학물질’ 위주
“안전기준 부재…관련 안전기준·교육 강화해야”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24일 대규모 사망자를 낸 경기 화성시의 아리셀 공장은 리튬 배터리인 일차전지를 제조하는 곳으로, 리튬은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돼 있다.

리튬은 상온에서 순 산소와 결합해도 발화하지 않고, 특히 일차전지는 화재 위험성이 작은 것으로 여겨져 별도의 대응 매뉴얼이나 안전기준이 없다.

그러나 일차전지도 일단 불이 나면 연쇄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관련 부처와 업계에 따르면 전날 화재가 난 공장에서 보유하던 리튬 배터리는 대부분 한번 사용된 뒤 재충전 없이 폐기되는 일차전지로, 이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화재 위험이 작은 것으로 평가된다.

리튬 역시 불에 넣거나 고의로 분해하지 않는다면 그 자체로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기 때문에 유해화학물질이 아닌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된다. 고체 리튬은 순 산소와 결합해도 상온에서 발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번 화재에서 볼 수 있듯 리튬은 반응성이 큰 금속이어서 매우 높은 온도에 노출되거나, 수증기와 접촉하면 폭발할 수 있다.

소방당국은 이번 화재도 시작은 1개의 리튬 배터리에서 시작했지만, 다른 배터리로 불이 옮겨붙으면서 연쇄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보통의 화재처럼 소방차에서 물을 뿌리는 것이 아니라 마른 모래와 팽창 질소로 불을 꺼야 한다.

전날 화재에서는 배터리에 포함된 리튬이 극소량인 것으로 확인돼 물을 활용한 일반적인 진압 방식을 사용했지만, 물로 진화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현재 환경부의 화학사고 위기대응 매뉴얼 등은 유해화학물질이 대기나 수계로 유출돼 인명·환경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리튬을 비롯한 일반화학물질과 관련한 사고는 소방당국을 중심으로 대응이 이뤄진다.

그러나 최근 리튬 배터리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리튬에 대한 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2년 10월 15일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유발한 SK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는 이차전지이긴 하나 리튬이온배터리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당시 약 3300㎡에 달하는 넓은 장소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나타나면서 초기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내부 분리막이 파손되면 가스 생성 및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하고, 인접 셀이 연쇄 반응을 하게 된다.

이밖에도 리튬은 전기차, 휴대전화, 노트북,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생활 곳곳에 들어가 있다.

공하성 우송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이차전지에 대해서는 화재 가능성에 관심도 많고 보호장치도 많이 적용되지만, 일차전지는 그간 화재가 자주 발생하지 않아 안전기준 등이 마련된 것이 없다며 “관련 안전기준과 안전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