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지구온난화로 1도 오르면 물가 최대 0.5%P 더 뛴다”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13일 여의도공원에서 한 시민이 운동 후 쉬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지구 온난화 등 기후 변화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위험을 증대시키고 있단 경고가 나왔다.

한은은 18일 '기후변화가 국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해외 선행 연구와 국내 기후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기온상승은 농산물 가격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폭염 등 일시적 기후 충격으로 기온이 1℃ 오르면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0.4∼0.5%포인트 높아지고, 이 영향이 6개월가량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겨울 한파 등 이상 저온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비슷한 물가 영향이 확인됐다.

아울러 1년간 각 월의 평균기온이 장기평균(1973∼2023년)보다 1℃ 상승하는 경우를 가정한 결과, 1년 후 농산물 가격은 2%, 전체 소비자물가 수준은 0.7% 오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런 분석 결과를 국내 평균 기온이 2019∼2023년 13.2℃에서 2040년 13.6∼13.8℃까지 상승하는 탄소배출 시나리오에 적용하니, 2040년까지 농산물 가격은 0.6∼1.1%, 전체 소비자물가는 0.3∼0.6% 더 높아졌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국내 기후 변화의 (물가에 대한) 직접 효과에 더해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간접효과까지 감안하면 실제 기후 변화의 국내 인플레이션 영향은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