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시, 군위 신공항 첨단산단에 4조원 규모 SMR 건설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화 위치도.[대구시 제공]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대구시는 17일 산격청사에서 한국수력원자력과 TK신공항 첨단산업단지 내에 국내 최초의 '680MW 소형모듈원자로(SMR)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를 체결했다.

SMR은 주요 기기를 모듈화해 공장 제작이 가능한 전기출력 300MW 이하의 원자로로, 이번 협약은 지난 5월 제11차 전력기본계획안에 SMR 1기 도입이 발표된 이후 가장 먼저 추진되고, 특히 광역자치단체가 SMR 건설에 직접 나선 첫 번째 사례다.

업무협약은 TK신공항 첨단산업단지 내에 SMR 사업화와 건설을 위한 '부지 적합성, 경제성 등 타당성 조사'를 비롯해 SMR 상용화 노력과 친환경 무탄소 에너지도시 조성,주민 수용성 제고, 사용전력의 100%를 태양광, 원자력 등 무탄소 에너지로 공급하는 CF100(Carbon Free 100) 정책 활성화 노력 등 다양한 협력 사항을 담고 있다.

SMR은 기존의 대형 원자로에 비해 안전성과 효용성이 높고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보완, 유연한 출력 구현, 전기뿐 아니라 열 생산. 공급, 수소 생산, 석탄 화력발전 대체 에너지원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80여개의 SMR 모델이 개발돼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유럽, 중국 등은 2030년대 상업 발전을 목표로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다.

대구 군위에 들어설 SMR은 안전성과 경제성, 지속 가능성 등을 고려해 외국 개발 모델이 아닌 우리나라가 개발하는 혁신형 SMR(i-SMR)로 선택했다.

대구시는 앞으로 한수원과 민간건설사와 함께 '사전 타당성 조사'를 2026년까지 실시하고, 정부의 관련 절차에 맞춰 2028년 표준설계 인가를 받은 후 착공해 2033년부터 상업 발전을 시작할 계획이다.

SMR 건설은 SPC(특수목적법인)를 구성해 이 법인이 군위첨단산업단지 내 에너지생산단지(50만㎡) 중 약 16만㎡(4만 8천 평) 부지를 유상 매입하는 방식으로 추진되며 4조원대의 총사업비는 전액 SPC가 조달하게 된다.

대구시와 한수원은 17일 대구시청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신공항 첨단 산단에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을 유치해 'SMR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군위 신공항 에어시티와 구도심 등에 지역난방을 공급하며 지역 소득증대, 주민복지, 전기요금 보조 등 다양한 지원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군위 신공항 산업단지에 SMR이 건설되면 입주 기업의 에너지 비용 부담이 줄어 최대 930만 평에 달하는 산단의 기업 유치가 촉진되고 TK신공항의 물류 기반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신공항 첨단산단은 TK신공항과 값싼 전력을 보장하는 SMR, 저렴하고 풍부한 산업 용지를 기반으로 용인·이천 등 수도권에 편중된 반도체 클러스터를 분산 배치하기 위한 최적의 여건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미래 반도체 캠퍼스는 국가 안보나 산업 인프라 측면에서 분산 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공항과 SMR을 가진 군위 첨단산단이 후방의 최적지가 될 수 있다. 군위 SMR 건설을 위해 정부는 물론 민간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지역민과의 소통과 이익증진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