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천번 충·방전 이상無” 폭발위험 없는 ‘K-배터리’ 나온다
- GIST, 혁신적 전해질 첨가제 개발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에너지융합대학원 김상륜 교수 연구팀이 세륨과 염소 기반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기존 아연-브롬 배터리의 문제점인 아연금속 음극에서 발생하는 수지상(dendrite) 성장과 수소 발생 같은 부반응을 극복하고, 대형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높은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염화세륨(CeCl3)에서 세륨 양이온(Ce3+)과 염소 음이온(Cl-)이 동시에 작용하는 전해질 첨가제를 활용하여 아연금속 음극의 불안정성을 해결했다.

구체적으로 충전 과정 중 세륨 양이온(Ce3+)은 전기장이 강한 아연금속 음극의 돌출부에서 정전기적 보호층을 형성하여 수지상 성장을 억제했다. 동시에 뛰어난 전자 제공 특성을 가진 염소 음이온(Cl-)은 아연 이온의 솔베이션 구조에 참여하여 물 분해를 억제했다.

아연 전극 반응에서 염화세륨(CeCl3)의 효과.[GIST 제공]

개발된 전해질 첨가제를 양극과 음극이 모두 흑연으로 구성된 소형 아연-브롬 배터리에 적용한 결과, 2,000회 충·방전 후에도 각각 94.9%의 쿨롱 효율과 70.3%의 에너지 효율을 유지했다. 이는 첨가제가 없는 전해질과 비교하여 각각 73.8%와 52.9% 향상된 수치다.

또한 전해질 첨가제를 대면적 아연-브롬 배터리에 적용한 결과, 5000회 충‧방전 후에도 높은 방전 용량(407mAh)과 클롱 효율(92.3%)을 유지했다.

김상륜 GIST 교수.[GIST 제공]

김상륜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아연-브롬 배터리 전해질 설계의 실용적 가이드라인 제시와 수계 배터리 시스템에서 전극 안정화 전략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며 “향후 수계 배터리뿐만 아니라 리튬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고성능 및 고안정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및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Small’에 5월 7일 온라인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