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디다스 중국법인 내부 조사…협력업체 금품수수 의혹”
SNS에 관련 문서 게재
[AFP]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독일의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중국 현지 직원들의 협력업체 금품수수 의혹에 대한 내부 조사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달 중국 소셜미디어 샤오홍슈에 아디다스 중국 법인 '아디다스 차이나'의 연간 마케팅 예산 2억5천만 유로(약 3700억 원)를 담당하는 고위직을 포함해 이 법인 직원들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이들이 협력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내용의 문서가 게시됐다.

이 익명의 문서는 아디다스 중국 법인 직원들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아디다스 관계자도 이 문서의 작성자가 부패 의혹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매우 민감한 내부 기밀 사안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다른 부서에서 근무하는 이 법인의 두 번째로 높은 고위 관리자도 협력업체로부터 수백만달러의 현금과 부동산 등 현물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아디다스도 지난 7일 “중국에서 규정 위반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문서를 접수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우리가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시장에서 법률과 내부 규정, 윤리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외부 법률 고문들과 함께 이 사안을 집중적으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소식통들은 조사 대상자 가운데 아직 근무 정지 등 처분을 받은 직원은 없다고 전했다.

아디다스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에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하며 수익성 높은 중국 시장에서 큰 위기를 겪은 후 지난해 현지 경영진을 재정비했었다.

아디다스 중국 매출은 장기 봉쇄 조치와 함께 인권 운동가들이 강제노동이 이뤄진다고 주장하는 중국 신장지역 면화 구입을 거부한 서구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반발 등으로 2019년∼2022년 사이 급감했었다.

이 같은 중국 매출 타격은 지난해 아디다스 최고경영자(CEO)가 비에른 굴덴 전 푸마 사장으로 교체되는 주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중국 법인도 2022년 중국 란제리업체 코스모 레이디 출신 아드라안 시우를 CEO로 영입한 뒤 지난해 4분기 매출이 37% 증가하는 등 올해 두 자릿수 매출 증가를 전망했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