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산 백신 믿지 말라”…미군, 코로나 때 가짜뉴스 유포?
로이터, 전직 美 당국자 인용 보도
中 백신 영향력 키우기 방해 목적
기사의 내용과는 관련 없는 자료사진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미군이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 당시 동남아시아와 중동 등지에서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는 비밀작전을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백신 부족에 허덕이던 개발도상국에 중국이 자국산 백신을 지원하며 영향력을 키우려 들자 미군이 이를 방해할 목적으로 가짜뉴스를 대거 유포했다는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14일(현지시간) 미 정부 전직 당국자들을 인용, 미군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 봄부터 이듬해 중순까지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의 효능과 신뢰도를 깎아내리기 위한 작전을 실시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만 당시 미 국방부가 필리핀 내 작전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가짜 계정 300여개를 찾아냈다고 폭로했다.

‘#차이나앙바이러스’(중국은 바이러스란 의미의 타갈로그어 표현)란 태그가 달린 이 계정들은 대부분 2020년 여름 생성됐고 취재가 시작된 뒤 엑스 측에 의해 삭제됐다.

공유된 게시물은 “코로나19는 중국에서 왔고 백신도 중국에서 왔다. 중국을 믿지 말라”는 등 내용이 담긴 경우가 다수였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러한 작전은 중국이 자국에서 첫 발병자가 나왔는데도 ‘코로나19 미국 기원설’을 주장하며 가짜뉴스를 퍼뜨리기 시작한 데 대한 대응이었다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특히 전 세계가 코로나19 백신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시노백’을 비롯한 자국산 백신을 무상원조 방식으로 개발도상국에 우선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힌 것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자국민에게 백신을 우선 공급하겠다며 백신이 개발되기도 전부터 물량을 선점했고, 개도국들은 백신을 구할 길이 없어 발만 구르던 상황이었다.

미 정치권과 미군 수뇌부에선 개도국들이 대거 친중(親中)으로 기울 것이란 우려가 고조됐다.

작전에 직접 관여했다는 미군 고위당국자는 “우리는 협력국들과 백신을 제대로 공유하지 않았다”면서 “우리에게 남은 건 중국 백신을 비방하는 것 뿐이었다”고 말했다.

동남아 주재 미국 외교관들은 백신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다가 무고한 희생자를 낳을 수 있다며 반대했지만 미 국방부는 작전을 강행했다. 미군 고위 당국자는 “우리는 이 사안을 공중보건 관점에서 보지 않았다. 우리가 살폈던 건 중국을 어떻게 진흙탕에 끌어들일 수 있는지였다”고 말했다.

전직 미 국방부 당국자들은 당시 미군 태평양특수작전사령부(SOCPAC) 소속이었던 조너선 브라가 육군 중장의 주도로 2020년 봄 플로리다주 탬파 맥딜 공군기지에 관련 팀이 꾸려졌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중동과 이집트, 서아시아 등을 담당하는 미 중부사령부(CENTCOM)도 역내 무슬림을 상대로 “중국산 백신 제조에 돼지로부터 추출한 젤라틴 등이 쓰였기에 이를 접종하는 건 이슬람 율법에 어긋난다”는 주장을 퍼뜨려 논란을 유발했다고 한다.

이런 정황을 파악한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임원들은 같은해 여름 미 국방부에 문제를 제기했으나, 국방부는 이듬해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까지 관련 활동을 지속했다고 전직 미 당국자들은 전했다.

이와 관련한 질의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 측 대변인은 응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