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30년 RE100 달성하면 최대 24조원 절감 “재생에너지 전력수급에 글로벌 경쟁력 달려” [지구, 뭐래?]
해상풍력 단지 [123rf]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포함한 동아시아 빅테크 기업이 전력을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환경적·경제적 편익이 최대 24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13일 발표한 ‘테크기업 파워게임: 동아시아 전자산업 공급망의 재생에너지 채택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분석 대상 13개 기업 모두 2030년 100%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할 경우 연간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1억6785만t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네덜란드(2022년 기준)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큰 규모다. 이를 통해 적게는 약 1104억원(8742만 달러), 많게는 24조1106억원(190억9000만달러) 가량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룸으로써 각 사가 얻을 잠재적 배출량 감축 및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 [그린피스 제공]

분석 대상 기업 중 환경 및 경제적 편익이 가장 큰 곳은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달성할 경우 온실가스 1억4859만t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서울시(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4595만t의 3배를 넘는 규모다. 절감 비용도 약 14조4000억원(114억2000만 달러)에 달한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할 경우 SK하이닉스는 약 2조3154억원(18억 3327만 달러)를 절감할 것으로 분석된다. 13개 기업 중 두 번째로 절감 비용이 높다. 뒤이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각각 1조8842억원(14억 9186만 달러), 1조6689억원(13억 2143만 달러)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연구는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테크 기업들이 지구 평균기온 1.5도 상승을 막기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이 환경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얼마나 큰 이익을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 경제성 평가의 한 방법인 비용편익분석(CBA) 기법을 사용했다.

전세계적으로 탄소 감축을 위한 규제 압박이 거세지는 만큼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화석연료를 중단하면서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또 역시 가격 상승이 예쌍되는 탄소배출권 등 잠재적인 추가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삼성전자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 [그린피스 제공]

이번 연구의 저자인 리앙 동 홍콩 시립대학교 에너지환경학부 박사는 “연구 결과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것은 기업에게 비용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통념이 사실이 아님을 밝혀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탄소세 도입, 화석 연료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화석 연료 사용의 대가가 점점 더 커지는 있다”며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에 성공하는 제조업체는 온실가스 감축으로 인한 기후대응 및 비용 절감을 통해 실질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린피스는 재생에너지는 가장 경제적인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화석연료를 계속 사용하면 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른 기회비용 수십조 원을 모두 포기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전력수급을 목표로 정부는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와 함께 계통운영 및 전력망 이슈 해결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 기업 역시 RE100 달성을 위한 선제적 투자를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address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