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차 노조, 올해 임협 교섭결렬 선언…“사측 제시안 기대 못 미쳐”
8차 교섭서 임금협상 결렬 선언
사측 기본급 10만1000원 인상 제시
현대자동차 노사 대표가 지난달 23일 울산공장 본관 동행룸에서 2024년 임금협상 교섭 상견례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13일 울산공장에서 열린 8차 교섭에서 올해 임금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파업 준비 수순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사는 노조에 기본급 10만1000원 인상, 경영성과금 350%+1450만원, 글로벌 누적 판매 1억대 달성 기념 품질향상 격려금 100%와 주식 20주 지급을 제시했다.

또 사회공헌기금 연 60억원과 별도로 올해 제시된 성과금 중 직원 1인당 1만원을 출연하고, 회사는 출연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추가로 출연하는 ‘노사 공동 기금’ 조성을 제안했다.

매월 급여에서 천원 단위 이하 금액을 기부하는 ‘급여 우수리’ 제도를 추진해 소외계층 출산, 양육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하는 방안도 교섭 테이블에 올렸다.

노조는 이날 제시안이 조합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 교섭장에서 퇴장했다. 문용문 현대차 노조 지부장은 “오늘 제시안은 실망스럽다”며 “조합원의 기대와 요구에 턱없이 부족해 교섭 결렬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행위 조정을 신청하고 다음 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파업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사 입장 차이가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고, 조합원 투표에서 찬성이 전체 조합원 절반을 넘으면 합법 파업할 수 있다.

노조는 앞서 기본급 15만90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를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인상, 금요일 4시간 근무제 도입, 연령별 국민연금 수급과 연계한 정년 연장(최장 64세) 등을 회사에 요구했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6년 만이다. 노조는 코로나19 대유행, 일본의 백색 국가(화이트 리스트·수출 우대국) 제외 조치에 따른 한·일 경제 갈등 등을 고려해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파업 없이 교섭을 마무리했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