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국가연구소대학 모델, ‘몽골’서 꽃피운다
- 몽골판 UST, 몽골과학원대학(UMAS) 설립
- 초대총장에 UST 출신 아루칸 카스바타 선임
몽골과학원대학교(UMAS) 초대 총장에 선임된 UST 졸업생 아루칸 카스바타 박사.[U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몽골에 한국의 국가연구소대학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모델을 벤치마킹한 국가연구소대학 ‘몽골과학원대학(UMAS)’이 설립됐다. 초대 총장에는 UST 졸업생 아루칸 카스바타 박사(몽골국립대 교수)가 선임됐다.

몽골 교육과학기술부는 UMAS 설립을 인가하고, 지난 6일 UMAS 설립기념식을 개최했다.

UMAS는 몽골과학원 산하 16개 국가연구소를 캠퍼스로 활용, 소속 과학자를 교원으로 임용하고 R&D 시설 및 장비 인프라를 활용해 석‧박사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국가연구소대학으로, 우리나라의 UST를 밴치마킹했다. 몽골국립대학교(NUM), 몽골과학기술대학교(MUST) 등 5개 몽골 주요대학도 협력하여 강의 및 연구를 수행한다.

올해는 총 10개(화학공학, 환경공학, 종묘학, 생명공학, 재료과학‧공학, 물리학, 고고학, 수자원‧관개학, 인공지능 전공, 심리학)의 전공을 설치하고, 하반기 첫 입학생 30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카스바타 총장은 울란바토르대학교에서 화학생태학 학‧석사학위 취득 후 2004년 UST-KIST 스쿨 에너지변환공학 전공에 입학, 2008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포스텍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몽골과학원 연구원으로 근무한 뒤 몽골국립대학교 교수로 임용됐다. 카스바타 총장의 임기는 5년이다.

UST 대전 본원.[헤럴드DB]

몽골 교과부는 UMAS 설립 초기부터 UST를 집중 벤치마킹 했다. 한국의 산업·경제 고도성장을 견인하고 국가 과학기술 역량을 세계적 수준으로 이끈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기반으로 하는 고급 R&D 인재양성 시스템이 몽골 혁신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 2022년부터 UST에 수차례 방문했다.

2023년에는 UST 국가연구소대학 모델 전파 및 우수인재 양성 협력을 요청함에 따라 UST와 몽골과학원(MAS)이 MOU를 체결하였으며, UST는 그간 국가연구소대학 설립‧운영에 필요한 행정시스템 구성 및 운영, 학위과정 체계, 학생지원 체계, 학규 등 정보와 노하우를 공유해왔다.

카스바타 총장은 “UST에서 국가연구소 기반 학위과정을 경험하며 일반대학과는 완전히 차별화된 연구중심 인재양성 시스템이 몽골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껴왔다”며 “UMAS 초대 총장이자 UST 동문으로서 고국과 모교가 과학기술 인재를 매개로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 수 있도록 힘쓸 것이며, 미래 발전을 함께하는 협력 국가연구소대학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이환 UST 총장은 “UMAS 설립은 몽골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며, 초대 총장으로 UST 경험을 지닌 졸업 동문이 선임된 것은 매우 뜻깊고 자랑스럽다”며 “지난 20여년 UST의 경험과 노하우를 UMAS와 적극 공유하고 지원하여 양교의 발전은 물론, 양국 과학기술 동반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