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휴진 병원’ 낙인 찍힐라…집단휴진 고민하는 동네병원들
18일 의료계 총파업 선언…정부 ‘진료·휴진신고 명령’ 대응
휴진 미참여 개원의 “휴진 병원으로 낙인 찍힐까 두렵다”
휴진 참여 개원의 “하루 쉰다고 해서 불이익 줄 수 없다”
12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노동조합 게시판에 ‘히포크라테스의 통곡’이라는 제목의 대자보가 붙어 있다. 오는 17일 예정된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전체 휴진 방침에 따라 분당서울대병원 또한 일부 진료과가 휴진할 것으로 알려지자, 이 병원 직원 등으로 이뤄진 노조가 결정을 규탄하고 나선 것이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의료계의 ‘총파업’을 앞두고 동네 병원들의 휴진 참여 여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가 개원의를 대상으로 진료 명령을 발령하고, 13일까지 휴진을 신고토록 했기 때문이다. 다만 개원의들은 ‘하루 쉬는 것으로 불이익 대상이 될 수 없다’라면서 휴진에 참여하겠다는 입장과 ‘휴진 병원으로 낙인 찍힐까 두려워 쉬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갈리고 있다.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오는 18일 의료계 총파업을 둘러싼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9일 전국의사대표자회의를 열고 18일 전면 휴진과 총궐기대회 개최를 선언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 교수 단체들도 의협의 결정에 따르겠다면서 ‘의료 셧다운’이 예고된 상황이다.

정부는 개원의들에게 진료명령과 휴진신고명령을 발령하는 등 집단행동에 대한 단호한 대처에 나섰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개원의를 상대로 휴진 없이 진료하라는 진료 명령과 함께 이날까지 휴진을 신고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료계 전체의 집단 진료거부는 국민과 환자의 생명권을 위협하는, 절대 용납될 수 없는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명령에 따라 모든 개원의는 원칙적으로 휴진을 할 수 없다. 만약 휴진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신고해야 하고, 정부는 이를 시·군·구별로 취합해 당일 휴진율을 따져본다는 입장이다. 만약 휴진을 예고한 의료기관이 30%를 넘을 경우, 당일 점검 등을 통해 진료 중단 행위를 확인할 예정이다.

동네 병원 입장인 개원의들은 휴진 동참 여부를 두고 고민이 깊은 상황이다. 서울 강동구 지역 개원의 A씨는 “휴업을 고민했지만, 동네에서 ‘휴진 병원’이라는 소문이 나서 환자들이 찾지 않을까 두렵기도 하다”라며 “하루만 문 닫아도 손해가 큰 데다 동네 병원들이 하루 문을 닫는다고 정부가 정책을 철회할 가능성도 낮다는 현실적인 고민도 있다”고 했다.

정부가 이탈 전공의들의 사직을 허용하고 행정처분 절차도 중단한 5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

다만 휴진에 동참하겠다는 이들도 있었다. 서울 송파 지역 개원의 B씨는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하루 쉰다고 해서 정부가 불이익을 줄 수는 없을 것”이라며 “의료계 총파업에 동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른 개원의 C씨는 “휴진에 참여하겠지만, 무기한 휴진을 할 수는 없을 것 같다”라고 선을 긋기도 했다. 실제로 2020년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협이 벌인 총파업(집단 휴진) 때도 개원의 참여율은 갈수록 감소했다. 당시 집단 휴진 첫날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 평균 휴진율이 10.8%였으나 이튿날은 8.9%로 떨어졌고, 사흘째에는 휴진율이 6.5%로 떨어진 바 있다.

의료계는 참여율이 낮았던 2020년과는 다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대한개원의협의회 관계자는 “개원의들이 얼마나 참여할지 예측이 가능하진 않지만, 이번에는 분명 예전보다 훨씬 많은 수의 개원의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대부분 의사들이 이번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고 있고, 후배들이 고생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휴진 참여율은 ‘역대급’일 것”이라고 말했다.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