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자흐스탄에 ‘KAIST’ 설립 추진된다
- 韓-카자흐스, 과학디지털 기술 동맹 강화
한 KAIST - 카자흐 JSC 국제교류센터 MOU 체결식. 이종호(왼쪽부터) 과기정통부 장관, 김경수 KAIST 대외부총장, 아르만 아쉬킨 카자흐스탄 JSC 국제교류센터 부의장, 사아삿 누르벡 카자흐스탄 과학고등교육부 장관.[과기정통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 간 과학기술분야 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하는 등 과학기술‧디지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은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중앙아시아에서 한국과의 경제협력 규모가 최대인 국가다. 이번 협력 체계 강화는 양국의 협력관계를 과학기술‧디지털로 확장하고 실질적 협력과 투자 확대를 촉진 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12일 카자흐스탄 사야삿 누르백 과학고등교육부 장관과 한-카자흐스탄 간 과학기술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해 각서는 카자흐스탄 볼라샥(Bolashak)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우수 연구 인력에 대한 교류 협력과 양국 고등교육기관・연구기관 간 협력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장관은 양해각서 체결에 앞서 11일 나자르바예프대학교에서 한국 유학‧연구 경험이 있는 카자흐스탄 우수 과학기술 인재와의 간담회를 갖고, 양국 청년교류 확대를 위한 의견을 청취하고 한-카자흐스탄 간 협력의 가교역할을 당부했다.

카자흐스탄 연구인력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간담회에서는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양해 각서 체결도 이루어졌다. KAIST는 카자흐스탄 JSC 국제교류 센터 부의장(의장 대행)과 기관 간 인력교류 등 포괄적 협력에 대해 합의했다. 카자흐스탄 과학고등교육부는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를 모델로 하는 기관(Kaz-AIST)을 신설하고자 하는 계획을 밝히고 KAIST의 협력을 요청한 바 있다. 이번 KAIST의 카자흐스탄 기관과의 양해 각서 체결을 계기로 Kaz-AIST 설립 협력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장관은 12일 오후 카자흐스탄 자슬란 마디예프 디지털개발‧혁신 및 항공우주부 장관과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디지털 분야의 급속한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양국의 협력도 변화가 필요한 만큼, 양 장관은 이미 협력중인 IT 협력 프로젝트 외에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으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협력 양해 각서를 조속히 체결하기로 하였다.

이종호 장관은 “양국은 2009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되면서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왔으나 카자흐스탄이 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으면서 양국의 협력 분야도 과학기술과 ICT 분야로 확장이 필요하다”면서 “오늘의 협력 강화 논의를 계기로 카자흐스탄의 우수한 인적자원을 유치하고 우리의 과학기술과 디지털기업 진출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