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에 “한반도 안보악화 우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연합]

[헤럴드경제=안대용 기자] 러시아가 한국의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로 한반도 안보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주장했다.

타스·로이터 통신을 인용한 연합뉴스에 따르면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에서 한 브리핑에서 한국의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결정에 대해 이같이 논평했다.

자하로바 대변인 “우리는 한반도 정세가 나날이 악화하는 것을 유감스럽고 우려스럽게 지켜보고 있다”며 “한국의 이러한 조치는 긴장감을 높이고 위험을 매우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 4일 남북간 적대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9·19 군사합의의 전부 효력정지를 결정했으며 이를 러시아 등 주변국에 설명했다고 밝혔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한반도 정세 악화를 미국의 탓으로 돌렸다. 그는 미국이 북한 위협에 맞선다는 이유로 동맹국들과 다양한 군사 훈련을 하며 사실상 ‘협박 행위’를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오는 10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3차 핵협의그룹(NCG) 회의도 불안 요인이며 8월 예정된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로 새로운 긴장이 유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미국, 일본이 다영역 훈련 ‘프리덤 에지’를 올여름 처음 실시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한다고 밝혔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이는 한국, 일본과 3각 군사동맹을 구축하고 있는 미국의 공격 잠재력이 북한뿐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전략적 억제를 겨냥한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지난 1일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연설에서 러시아가 북한 무기를 공급받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위반하고 국제사회를 배신했다고 언급한 데 대해 “반러시아 발언을 무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신 장관이 행사에 온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서방 후원자들을 기쁘게 하려고 ‘증거없는 비난’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러시아는 현재 일어나는 일에 대해 외부 관찰자로 남을 수 없으며 위협을 막고 국가 안보 보장을 위해 적절한 조처를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달 31일 우크라이나가 미국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공격하는 것을 일부 허용했다고 밝힌 직후 우크라이나가 미국 미사일로 러시아 접경지 민간인 거주 구역을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블링컨의 발표 직후, 불과 몇 시간 후에 우크라이나군은 벨고로드 주거지를 공격했다. 미국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을 이용해 이런 일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여성과 아동의 사망에 책임이 있다면서 “하이마스 로켓 파편이 증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증거 사진을 제시하거나 여성·아동 사망자 수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3일 일일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벨고로드에서 러시아의 S-300/400 방공 포대를 타격했다”며 이 공격이 지난 1∼2일 사이 미국 하이마스를 사용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d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