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마크로젠, 국내 최초 비의료기관 바이오뱅크 개설 허가
[마크로젠 제공]

[헤럴드경제=권제인 기자]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마크로젠이 비의료기관 중 국내 최초로 바이오뱅크(인체유래물은행) 개설 허가를 받았다고 4일 밝혔다. 마크로젠은 데이터·바이오뱅크를 통합적으로 확보해 인공지능(AI) 디지털헬스케어를 위한 기반을 확립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바이오뱅크는 기증 동의 및 기탁 절차를 통해 혈액, 소변, 조직, 세포 등 인체유래물과 그와 관련된 역학, 임상, 유전정보 등을 수집·보존해 직접 이용하거나 연구실 등에 제공하는 기관이다. 마크로젠은 질병관리청의 허가에 따라 세계 곳곳의 대학, 연구실 등 임상 연구에 양질의 검체를 제공, 분양해 미래 정밀의료 연구 및 바이오·디지털헬스 산업 강화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초거대·생성형 AI 시대에 유전정보와 생활습관 정보, 인체유래물 연구의 통합 데이터는 개인맞춤 정밀의료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자원이다. 이에 마크로젠 바이오뱅크는 지난해 6월 출시한 유전자·미생물 정보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젠톡(GenTok)과 함께 모든 검체 자원 정보를 통합 구축할 예정이다.

바이오뱅크를 통하면 바이오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임상 검체 신청·심의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는 등 연구분야 수요를 충족할 뿐 아니라 급속하게 성장 중인 체외진단산업을 비롯한 바이오헬스 산업에 기여해 매출 견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마크로젠은 2018년 획득한 미국실험실 표준인증인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 인증과 미국 병리학회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 인증 등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바이오뱅크를 관리하는 한편, CAP-CLIA 인증 항목에도 바이오뱅크를 추가할 예정이다.

김창훈 마크로젠 대표는 “올해 창립 27주년을 맞이한 마크로젠이 바이오뱅크까지 중장기 청사진의 모든 필요 요소를 두루 갖추게 된 것은 물론, 정밀의학 실현을 통해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우리나라 미래 국가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에 검체 기탁 등 더욱 확대된 연구 교류의 장이 펼쳐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ey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