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이 없는 신혼부부도 공공주택 혜택
서울시 신혼부부 주택 확대 발표
3년간 신혼부부에 4396호 공급
2026년부터는 매년 4000가구

서울시가 신혼부부 만을 대상으로 한 장기전세주택을 확대 공급한다. 아이가 없어도 입주할 수 있으며, 아이를 낳으면 연장할 수 있고, 큰 평형으로 이동도 가능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아이 셋을 낳으면 시세보다 20% 저렴하게 해당 집을 매수할 수도 있다. 시는 동시에 새로운 임대주택 모델인 ‘신혼부부 안심주택’도 선보인다. ▶관련기사 21면

서울시는 29일 ‘저출생 대응 신혼부부 주택 확대방안’을 발표하면서 올해부터 3년간 신혼부부에게 공공주택 4396호를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정책을 ‘장기전세주택 시즌2’로 규정했다.

오세훈표 주택정책 대표 브랜드인 장기전세주택(SHift)의 입주 대상을 다자녀 가정 뿐 아니라, 아이 없는 신혼부부, 예비 신혼부부까지 넓히는 게 골자다. 2026년부터는 매년 4000호씩 장기전세주택을 공급해 한 해 결혼하는 신혼부부 3만 6000쌍(지난해 기준) 중 약 10%는 집 걱정 없이 가정을 꾸릴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전세주택에는 무자녀 신혼부부는 물론, 예비부부까지도 입주할 수 있다. 자녀 출산시 거주기간 연장, 우선 매수청구권 부여 등 혜택도 제공한다.

올해 말 입주 예정인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에 300호를 우선 공급할 예정이며, 7월 중 모집공고를 시행한다.

입주 후 출산 자녀 수에 따라 혜택이 더해진다. 아이를 1명 낳으면 최장 거주기간이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되고, 2명을 낳으면 20년 후 살던 집을 시세보다 10%, 3명을 낳으면 시세보다 20%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다. 또 자녀 수가 많아질 경우 넓은 평수 집으로 이사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신혼부부 안심주택’도 선보인다. 신혼부부를 위한 새로운 임대주택으로 2026년까지 2000호가 공급된다.

사업대상지는 출퇴근이나 생활 편의시설 등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역세권에 위치한다. 6월 시범대상지 모집에 들어가고 7월 중으로 조례·운영기준 등을 마련, 즉시 행정절차에 들어간다.

신혼부부 안심주택은 결혼 7년 이내인 신혼부부와 결혼 예정인 예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며 70%는 임대(민간·공공), 30%는 분양주택으로 공급한다. 민간 임대주택은 주변시세의 70~85%, 공공임대주택은 주변시세 50% 수준으로 공급된다. 출산시 우선 양도권과 매수청구권을 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아이를 낳기만 하면 사회가 함께 키우는 시스템을 정착하고, 필요한 자원을 최우선으로 투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자연 기자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