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정찰위성 발사 실패…대통령실 “성공여부 관계없이 안보리 결의 위반”
국가안보실장 주재 안보상황점검회의 개최
합동참모본부는 27일 “밤 10시 44분께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방향으로 발사한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항적 1개를 포착했다”며 “동 발사체는 밤 10시 46께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됐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해 11월 발사해 궤도에 올린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로켓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북한이 27일 밤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자 대통령실은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북한이 작년 11월에 이어 또다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것은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라며 규탄했다.

대통령실은 28일 새벽 0시48분쯤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 군은 27일 오후 10시44분경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국가안보실은 대통령에게 관련 내용을 즉시 보고했으며, 오후 11시40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안보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해 합참의장의 상황보고를 받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한미 당국은 발사체가 수 분 간 비행 후 북한 해역 공중에서 폭발한 것으로 평가했다.

대통령실은 “한반도와 동북아,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행위”라며 “우리 군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빈틈없는 안보태세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국가항공우주항공기술총국 성명을 발표하며 발사한 정찰위성 만리경 1-1호 운반 로켓이 1단계 비행 중 폭발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총국장이 “신형 위성 운반 로켓은 1단 비행 중 공중 폭발해 발사가 실패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비상설 위성 발사 준비위원회 현장 지휘부 전문가 심의에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 발동기(엔진)의 동작 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이날 밤 10시44분경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서해 남쪽방향으로 발사한 '북 주장 군사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항적 1개를 포착했다.

해당 발사체는 밤 10시46분경 북한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됐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