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복현 금감원장 “공매도 재개는 개인 욕심…세상이 어떻게 다 욕심대로 되겠나” [투자360]
27일 한 라디오 방송 출연
“전산시스템 다 만들려면 내년 1분기 정도 가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7일 최근 정부 내 엇박자 논란이 제기된 공매도 재개에 관련, “불법 공매도 방지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공매도 재개 내지는 일부 재개와 연계됐다는 점에 대해서는 당연히 저희가 일관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제 개인적인 욕심으로는 가능함 범위 내에서 빠른 시간 내에 6월 중 일부 재개하는게 좋겠고 재개가 어렵다면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언제, 어떤 조건 하에 어떤 방식으로 할 수 있는지 적어도 향후의 흐름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는게 좋겠다 해서 설명을 드린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공매도 전산시스템 마련 후 재개 방침에 대해서는 변한 건 없고, 다만 그럼 어느 정도가 정말 불법 공매도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냐 하는 것과는 추가적으로 경과를 설명을 드릴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조금 더 소통을 하면서 공매도 재개방식이라든가 범위 내지는 조건들을 다듬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산시스템이 공매도 주문한 회사 내에서 불법을 탐지하는 시스템이 있는 거고, 그것들 전체를 일종의 환류시스템을 만들어서 중앙시스템을 만든 게 있는데 이 후자까지 다 하려면 아마 내년 1분기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며 “제가 말씀드린 대로 개인적인 욕심, 물론 그게 사적인 욕심은 아닌데 어떻게 세상이 다 욕심대로 살겠나. 다만 다양한 이해관계가 존재하고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소통이 필요한데 그 지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타이밍에 어떻게 재개할지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지난 24일 불법 공매도를 점검·차단할 수 있는 공매도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최소 10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정 이사장은 이날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공매도와 관련된 정책 방향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거래소의 기술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곧 결정될 듯 싶다”면서도 “공매도 전산 시스템 개발에는 1년 정도, 많이 단축하면 10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 단축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지만 단축만이 능사는 아니다”라며 “얼마나 안정적인 탐지 시스템을 만드느냐도 굉장히 중요한 과제”라고 짚었다.

한편, 이 원장은 금융투자소득세와 관련해서는 “금투세 관련해서 공론장에서의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다이나믹하게 변화한 자본시장 상황을 감안해 연말까지 적극적으로 토론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