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72조'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시장, 톱티어 도약하려면
삼정KPMG, 완성차 기업에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전략 제시
차량 구독 서비스로 '편의성·다양성·최신성' 추구
M&A 및 합작사, 파트너 활용 필요
SDV가 촉발한 주요 이슈와 완성차 제조사의 대응 전략[삼정KPMG 제공]

[헤럴드경제=심아란 기자] 자동차 산업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구조로 바뀌는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앞으로 5년 뒤에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 시장 규모가 4197억달러(한화 약 572조원)로 예상돼 눈길을 끈다.

23일 삼정KPMG는 '소프트웨어로 달리는 자동차, 완성차 업계가 꿈꾸는 미래' 보고서를 발간해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SDV는 차량의 주요 기능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동된다. 핵심 경쟁력과 가치는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되는 자동차다.

보고서는 SDV가 부상하게 된 배경으로 ▷미래자동차 발전 방향성 ▷소프트웨어 기반 통합형 제어 시스템 지향 ▷차량 연비(전비) 향상과 소비자 편의성 확대를 꼽았다. 이어 SDV를 구현하려면 차세대 전기·전자 아키텍처, 하드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DV 핵심 경쟁력으로 차량용 운영체제(OS)에 주목하고 있다. 서비스 추가·변경·삭제를 지원하는 유연성이 요구되는 SDV를 완벽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확보가 필수적이며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 차량용 운영체제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차량용 OS를 중심으로 SDV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완성차 제조사들의 대응 전략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차량용 앱의 이용 편의성·다양성·최신성에 기반한 생태계를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앱의 추가와 삭제가 용이해야 하고 다양한 기능의 앱 제공을 통해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차량에 탑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앱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완성차 기업은 차량 구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기아 커넥트 스토어(Connect Store)를 통해 EV9에 FoD 서비스를 적용했다. FoD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듯이 고객이 필요할 때마다 소프트웨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매하도록 지원하고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 밖에도 보고서는 협업과 인재 확보 등을 통해 SDV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제휴나 합작을 기반으로 사외 역량을 활용할 경우 각 사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파트너사를 탐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양사가 비전을 공유하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동준 삼정KPMG 자동차산업본부 본부장은 "SDV가 새로운 스마트 기기이자 또 다른 생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인포테인먼트 OS를 중심으로 구글과 애플이 차량용 데이터에 점차 깊숙하게 관여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완성차 기업은 자사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ar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