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AI 기술, 인류사회에 막대한 파급…안전·혁신·포용 조화 추진”
AI 서울 정상회의 공동주재
3대 글로벌 AI 거버넌스 목표 합의
AI안전연구소 간 네트워크 촉진
국제 기업들도 ‘AI 안전 서약’ 뜻모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해진 네이버 창립자도 참석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AI 서울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대한민국도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해 글로벌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리시 수낙 영국 총리와 공동으로 정상세션을 주재하며 ‘안전·혁신·포용성’의 3대 원칙을 담은 합의를 도출했다.

윤 대통령은 온라인으로 개최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AI 안전, 혁신, 포용을 조화롭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AI서울 정상회의는 ‘AI 안전성 정상회의를 바탕으로,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미래로’를 주제로 21~22일 열리고 있다.

윤 대통령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AI 기술이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하면서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며 “디지털은 국경을 넘어 초연결성을 지닌 만큼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의는 “그간의 노력을 결집해 글로벌 차원의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도 기대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정상과 글로벌 기업 CEO들은 ▷AI 위험요소 최소화 ▷자유로운 연구개발로 인한 잠재력 구현 ▷이로 인한 인류의 공평한 혜택 등을 논의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특히 각국 정상들은 ‘안전성·혁신성·포용성’을 AI가 추구해야 목표라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어떻게 구체화 해나갈지 논의했다. 글로벌 AI 기업들은 자발적으로 AI 위험을 예방하겠다고 서약했다.

윤 대통령은 각국 지도자들이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 선언’을 동참해준 것에 사의를 표하며 “AI 정상회의 논의를 안전에서 혁신, 포용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번 서울 선언에는 ▷상호 운용성을 지닌 보안 조치의 중요성 ▷각국의 AI 안전연구소 간 네트워크 확대 및 글로벌 협력 촉진 ▷안전·혁신·포용적인 AI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 개발 및 거버넌스 구축 의지 ▷기업들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필요성 등이 포함됐다.

윤 대통령은 폐회사에서도 “각국 정상들은 AI 안전, AI 혁신, AI 포용이라는 3대 목표에 공감대를 이루었고, AI의 위험과 기회를 균형있게 다루어야 한다는 기본 방향을 공유하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정상간 합의로 이뤄진 서울선언에 대해서는 “블레츨리 파크에서 이룬 각료 간 합의를 보다 격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참석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은 “AI 정상회의가 글로벌 AI 거버넌스 구축을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차기 개최국인 프랑스의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정상회의에는 카말라 데비 해리스 미국 부통령,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등이 참석했다. 국제기구를 대표해서는 안토니오 구테레쉬 UN 사무총장, 마티아스 코먼 OECD 사무총장이 참여했다.

글로벌 AI 기업을 대표해서는 에릭 슈미트 슈미트재단 설립자, 데비스 허사비스 구글 딥 마인드 회장, 다리오 아모데이 앤트로픽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일론 리브 머스크 xAI 설립자 등이 참여했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