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혁신중소기업 찾은 김윤상 기재차관, 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 성장 뒷받침 약속
대전 혁신제품 생산기업 엔젤로보틱스 방문
간담회 통해 혁신제품 생산기업 건의사항 청취
혁신제품 공공구매제도 5년차...질적성장 강화
생활밀착형 혁신제품 발굴, 해외진출 지원 확대
김윤상 기획재정부 차관이 21일 오후 대전시 대덕구 엔젤로보틱스 대전 연구소를 방문, 재활 보행보조로봇 착용 체험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해외실증 대상기관을 현재 코이카・코트라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해외법인과 혁신기업이 발굴한 해외기관까지 확대하겠다."

김윤상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21일 대전 소재 혁신제품 생산기업인 엔젤로보틱스를 방문, 혁신제품 생산기업 관계자들과 개최한 현장 간담회에서 "차별화된 기술과 실질적 수요에 기반한 시장지향형 혁신제품 지정을 확대하고, 해외실증 예산을 2023년 12억원에서 2024년 70억원으로 대폭 증액했다"면서 이같이 약속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혁신제품 공공구매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지난 4년간 1893개 혁신제품을 발굴·지정해 2조8000억원 규모의 혁신제품을 구매했다. 이는 혁신 중소기업이 조달시장 진입을 발판 삼아 초기 판로를 개척하고 건실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제도 도입 5년 차를 맞아 그간의 양적성장을 바탕으로 질적성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앞서 지난 3일 김윤상 차관 주재로 조달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해 ‘혁신제품 공공구매 성과제고 방안’과 ‘24년 혁신제품 지정계획 및 구매목표’를 심의・의결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올해 혁신제품 구매 목표액은 지난해 대비 13.1% 많은 7698억원이다. 또, 혁신제품 지정요건 중 기술적 차별성 평가 배점 강화(10점→20점), 구매편의 제공을 위한 단가계약 적용 확대, 고가 혁신제품에 대한 임차・구독계약 활성화 등을 담았다.

김윤상 차관은 이날 엔젤로보틱스 선행연구소를 방문하여 해외수출을 추진 중인 착용형 재활보조로봇(혁신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혁신 중소기업(엔젤로보틱스, 카이아이컴퍼니, 엔티큐, 파이어킴에너지솔루션, 유솔, 멀틱스) 대표들로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김 차관은 "앞으로도 혁신 중소기업들의 건의사항과 애로사항을 지속 청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