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소상공인 “현행법으론 거대 플랫폼 횡포 못막아…규제법안 절실”
중기중앙회 ‘플랫폼 규제방안 토론회’
플랫폼 투명성 강화·당국 감독 필요성 강조
중소기업중앙회가 2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개최한 ‘상생하는 온라인 플랫폼 거래환경 조성을 위한 합리적 규제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중기중앙회 제공]

중·소상공인업계가 생존을 위협하는 거대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을 통제하기 위한 ‘플랫폼 규제법안’이 제정돼야한다고 한목소리로 요구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2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상생하는 온라인 플랫폼 거래환경 조성을 위한 합리적 규제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온라인 플랫폼과 입점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공정한 거래환경 조성을 위해 필요한 플랫폼 규제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코로나19로 비대면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중소상공인들에게 온라인 플랫폼은 시장 접근을 위한 필수 판로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커머스 시장이 쿠팡, 네이버 등 소수의 거대 플랫폼업체 위주로 재편되며, 이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입점 업체가 많아지며 납품가격 책정, 거래비용 등에 있어 불만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첫 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위평량 위평량경제사회연구소장은 플랫폼의 경제·사회적 영향 분석내용과 분쟁 추이, 플랫폼사업자의 우월적 지위남용 사례 및 대응 방향 등을 발표했다. 위 소장은 “현행 법으로는 시장지배적 사업자 통제에 한계가 있고, 시장지배적 사업자 사전가이드라인 설정에 있어 기본적인 정량적·정성적 기준에 더해 한국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윤정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서 온라인 플랫폼법을 통한 경제성장 가능성과 독과점 플랫폼 규제법안의 주요 내용, 법 제정시 고려사항 등을 제안하면서, 플랫폼의 독점력 수준에 따라 금지행위 범위 적용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이영주 한국떡면류혼합분말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거대 플랫폼의 납품가격 책정과 거래비용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많이 들리고 있다”며 시장 영향력이 큰 플랫폼의 운영 투명성 제고와 당국의 온라인 시장 감독 강화를 위한 플랫폼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손성원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법 적용의 적정한 규모요건 지정이 신규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진입 및 성장에 긍정적일 수 있다”며 “플랫폼법이 중개업뿐만 아니라 직매입 분야도 포함, 온라인 플랫폼 유통분야 전반을 다룰 수 있도록 기존 법률과의 적용범위 조정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플랫폼이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명분삼아 책임없이 권한만 행사하여, 민원이 거세지고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입점업체의 상생과 성장을 위해 실효성 있는 규제와 통제 정책이 필요한 시점임을 역설했다.

플랫폼 업계를 대표해 토론회에 참여한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최근 라인 이슈에서 볼 수 있듯이 플랫폼은 국익과 연결될 정도로 중요하며, 우리 스타트업과 플랫폼 기업이 글로벌로 잘 성장하는 것이 상생의 지름길”이라며 플랫폼에 대한 제도적 접근은 우리 기업의 혁신과 상생을 지원하는 방향이어야 함을 강조했다.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협상력 부족으로 플랫폼의 과도한 요구에 대한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인들이 많다”면서, 온라인·디지털 시장 특성을 고려한 법규정을 마련하여 플랫폼 시장 거래시 입점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소하는 것이 중소기업계의 중요한 정책과제임을 강조했다.

유재훈 기자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