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 본격 시작...관건은 '내수' 적정 최저임금은?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공공연대노동조합 관계자들이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질임금 인상, 최저임금 대폭 인상, 최저임금 산입범위 폐지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수출에 훈풍이 불면서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지만 내수 경기는 여전히 냉랭하다. 임금 인상률이 치솟는 물가 상승률을 밑돌면서 실질임금이 2년 연속 뒷걸음질 쳤기 때문이다. 소비 여력이 꺾인 각 가계가 지갑을 닫는 탓에, 경기는 더 악화하는 ‘악순환’이 심화하고 있다.

이 탓에 오는 21일부터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하는 2025년도 최저임금 논의 과정에 내수 침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상 첫 최저임금 1만원 돌파’와 돌봄 등 ‘업종별 차등적용’에 모든 관심이 쏠려있지만, 그 보다 중요한 건 실질임금 하락의 고리를 끊어내는 것이란 설명이다.

2년째 뒷걸음질 ‘실질임금’…내년엔 끊어야

20일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노사 대표와 공익위원 총 27명으로 이뤄진 최저임금위원회는 오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1차 전원회의를 개최한다. 회의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심의요청서 접수, 위원장 선출 등 2025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에 본격 착수하게 된다.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 심의의 가장 큰 화두는 사상 처음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원을 넘길 수 있을 지 여부다. 올해 최저임금이 시간당 9860원인 만큼 역대 최소 상승률인 1.5%(2021년)보다 낮은 1.4%(140원)만 올라도 최저임금은 1만원이 된다. 장담하긴 이르지만 내년부터 최저임금 1만원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다만 경제전문가들은 중요한 것은 ‘1만원’ 돌파가 아닌 ‘실질임금’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22, 2023년 물가가 큰 폭 오른 데 비해 임금 인상률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내수 침체가 심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명목임금에서 물가를 감안한 실질임금은 지난 2022년 사상 처음 0.2% 하락했고, 2023년엔 1.1% 떨어지면서 하락폭은 더 커졌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최저임금 추이와 국제 비교’ 보고서에 “최저임금이 본연의 역할을 하려면 인상률이 ‘경제성장률+물가상승률’보다 높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계의 소비여력 확대 없이는 내수 침체가 지속된다는 것이다.

韓 성장률 상향에도 내수는 ‘냉랭’…‘최저임금’에 쏠린 눈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영천시장을 찾아 수산 매장에서 상인과 대화하며 수산물을 살피고 있다. 윤 대통령 오른쪽은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연합]

우리 경제성장률은 올해 1분기 ‘깜짝 성장’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직전분기 대비 1.3%다. 코로나 기간(2020~2021년)을 제외하면 4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우리 성장률을 2.2%에서 2.6%로 상향조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체감 경기와 밀접한 내수 전망은 불투명하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이 1%대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먹거리 물가는 6%대 고공행진을 거듭했다. KDI는 최근 상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에도 총소비 성장률이 1.7%에 그칠 것으로 봤다.

내수 부진이 심화할 경우 정부 지출을 확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정부는 전통적인 방식을 거부하고 있다. 재정건전성이 나쁘기 때문이다. 실제 2022년 1067조원에 그쳤던 국가 채무는 올해 1196조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기간 GDP 대비 국가 채무비율은 49%에서 51%로 올랐다. 이는 정부가 돈을 풀어 내수 경기를 부양할 여력이 부족해졌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2년 연속 이어진 실질임금 하락을 막기 위해선 그 어느 때보다 최저임금 책정이 중요하다. 최저임금은 실업급여, 육아휴직급여 등 각종 복지지출에 연동되는 만큼 소외계층의 ‘민생’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미국 ‘호황’의 비결은? “실질임금 상승”
4월 16일 미국 워싱턴D.C의 마트인 웨그만스(Wegmans)에 진열된 후지 사과. 후지 사과 1파운드(0.45㎏) 가격은 1.99달러(약 2600원)다. 사진=김용훈 기자

임금이 내수 경기를 부양하는 사례는 최근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이 잇따르고 있는 미국 사례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다. 실제 IMF는 지난달 16일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7%로 0.6%포인트 올리며 “미국의 지난해 경기 호황이 올해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달 16일 유엔 경제사회국(DESA) 역시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1월 전망(1.4%)보다 0.9%포인트 상향했다. 최호상 국제금융센터 뉴욕사무소 소장은 “실질 임금 상승이 계속되면서 소비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올 3월 미국 실질임금은 전년대비 0.6%포인트 올랐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